실외 사육견 유기·유실 실태
농어촌 보호 인식 낮고 버거워해
정부 중성화 수술 지원도 태부족
“반려·유기동물 수 파악부터 해야”
경기 양주의 한 농가에 마당개가 묶여 있다. 마당개는 유기·유실견 중 78%를 차지한다.
양주 이근아 기자
양주 이근아 기자
콩이와 같은 처지에 놓인 마당개(실외 사육견)는 국내 유기·유실견의 상당수를 차지한다. 2021년 동물자유연대의 ‘유실·유기동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믹스견이 전체 유기견의 78.3%(6만 5858마리)였다. 마당이나 동네에 풀어놓고 키우는 개들이 자유롭게 번식을 하다 보니 유기·유실견이 많다.
김재영 국경없는수의사회 대표는 “농어촌 지역에서는 동물 보호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데다가 노인만 사는 가정에서는 강아지를 끝까지 책임지는 걸 버거워한다”고 했다.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의 ‘2021 동물복지 정책 개선 방향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에 따르면 농어촌에서는 28.1%가 마당 등에서 반려견을 길렀다. 또 반려동물의 중성화 수술(생식 기능을 제거하는 수술)을 하지 않은 비율은 54.8%였다. 도심(27.2%)과 비교해 크게 높은 수치다.
정부도 심각성을 모르는 건 아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3월부터 마당개를 대상으로 중성화 수술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지자체 반응은 좋다. 예컨대 전북 정읍에서는 올해 1~3월에만 마당개 100여 마리를 중성화 수술시켰다. 정읍시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들개로 변해 난폭해진 마당개와 그 새끼를 잡아 달라는 민원이 하루 10건 넘게 왔다고 한다.
다만 지원 금액이나 대상 개체 수 등이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지적도 있다. 농식품부는 2026년까지 사업 대상 37만 5000마리 중 31만 9000마리(85%)를 중성화할 계획인데 올해 목표치는 1만 8750마리에 불과하다. 또 암컷 마당개 중성화 수술비와 동물등록비 등의 마리당 단가는 40만원인데 이 돈으로는 중·대형견을 수술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예산이 한정됐기에 동물보호센터 인력 등 가용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근본적인 실태 파악도 중요하다. 천명선 서울대 수의인문사회학과 교수는 “정부는 마당개를 포함해 정확한 반려동물 수나 유기·유실동물 수를 모른다”면서 “이를 파악하는 것이 동물복지 정책 수립의 첫 단계”라고 말했다.
스토리콘텐츠랩은 이야기가 있는 뉴스를 전해드립니다.
서울신문은 국내 동물권 문제를 폭넓게 다루는 시리즈와 후속 기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동물학대와 유기, 펫샵이나 개농장·공장 등에서 벌어지는 부조리, 육견 판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등을 제보(jebo@seoul.co.kr)해 주시면 끝까지 추적해 보도하겠습니다. 제보자 신원은 철저히 익명에 부쳐집니다.
2022-06-1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