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왕이 대북 대응 방안 논의 전화통화… 靑 “박 대통령, 시진핑과 통화 등 협조 검토”
북한이 제4차 핵실험을 강행한 지 이틀 만인 8일 한·중이 외교채널을 전격 가동하고 대책 마련을 위해 긴밀히 소통·협력하기로 했다.이번 사태와 관련해 중국이 추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대북 제재 조치 등 대응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해 나갈지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저녁 중국 왕이 외교부장과 통화하고 이번 사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이날 6자회담 중국 측 파트너인 우다웨이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전화통화를 했다. 45분간의 통화에서 황 본부장은 “안보리 조치를 포함, 국제사회가 강력한 대응을 하도록 한·중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중국 측은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강조하면서 “안보리가 합당한 대응을 함에 있어 한국과 긴밀히 소통·협력하겠으며, 6자회담 틀을 통한 북핵 해결 노력을 계속 경주하자”고 답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이번 사태에 대한 한·중의 대응은 미·일 등에 비해 ‘반박자’ 느린 듯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미 전날 박근혜 대통령이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 일본 아베 신조 총리와 직접 통화하고 대북 제재 조치를 위한 한·미, 한·일 협력을 요청한 것과 대조적이다. 한·중 외교장관은 원래 전날 통화할 예정이었으나 중국 측 사정으로 통화를 이날로 연기했다.
박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간 통화 일정에 대해 청와대는 아직 공식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시 주석과의 통화 등 중국과의 협조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통화 일정이나 조율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양국 군사 당국 간 ‘핫라인’은 활용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각에서는 중국이 내부 입장을 정리하는 데 고심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 안보리에서 강력한 추가 대북 제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 중국은 지난 3차 핵실험 때까지와 달리 이번에는 안보리 회의에서도 ‘각국의 냉정과 절제’ 표현을 쓰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는 박 대통령 취임 이후 6차례나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지난해 9월 중국 베이징에서 거행된 전승절 열병식에 박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는 등 대중(對中)외교에 공을 들였다. 이에 안보리 논의 과정에서 중국이 어떤 대응을 보일지 주목된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6-01-09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