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0.74%’ 대기업 임원들의 민낯
“이달에 저녁 약속이 없는 날을 꼽아 보니 꼭 하루 있네요. 이날은 결혼기념일이라서….”대기업 홍보 임원 A(47)씨는 손수 본인의 스케줄을 확인했다. A씨는 “요즘 상무는 부장처럼 일하고 부장은 대리처럼 일한다”며 “오너가 아닌 이상 임원도 회사원일 뿐”이라고 말했다.
본격적인 연말 인사철이다. 실적이 부진한 기업의 임원일수록 언제 어떻게 자리가 흔들릴지 몰라 몸을 사리는 분위기다. 실제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달 임원 262명 중 31%인 81명을 감축했다. “임원은 1년 계약직”이라는 말이 실감 나는 요즘이다.
대기업 임원에게는 1억 5000만원 이상의 연봉, 전문 비서, 그랜저급 이상의 승용차, 골프 회원권이 따라온다. 직원들의 존경과 사회적 인정은 덤이다. 하지만 누구나 할 수 없는 게 바로 대기업 임원이기도 하다.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19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대기업 대졸 신입 사원 1000명 중 임원이 되는 숫자는 7.4명에 불과했다. 오르고 싶은 구름이자 따고 싶은 별, 대기업 임원은 도대체 어떤 자리일까. 임원의 민낯이 궁금했다.
지난 13일 A씨의 하루를 쫓았다. 일과는 오전 7시 30분부터 몰아쳤다. 이날은 대표 주재의 조찬 회의가 있는 날이었다. A씨는 보통 오전 5시 30분에 일어나 한 시간가량 인터넷으로 조간신문을 읽는다.
“저녁 약속이 많다 보니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적어요. 아침식사는 꼭 함께하려는 편인데, 요즘은 이 시간에 회사에 나와 일을 하면 어떨까 고민하고 있어요. 집보다는 회사가 효율적이니까요”
오전 8시 30분. 회의에서 나온 A씨의 전화에는 부재중 통화가 여러 통 찍혀 있었다. A씨를 찾는 기자들의 전화였다. A씨는 그 자리에서 다시 전화를 걸어 응대를 마쳤다. 그가 회사 사무실에 앉아 한숨을 돌린 건 9시 30분이 되어서였다.
그의 점심과 저녁은 기자들과의 만남으로 이어졌다. 낮 12시부터 자정까지 기자들과 신경전을 펼친다. 오후 4시쯤에는 직원으로부터 회사에 불리한 기사가 온라인에 올라와 있다는 보고를 받고 해당 언론사를 방문하기도 했다. A씨가 집에 도착한 시간은 14일 오전 1시 30분이었다. 그의 수면 시간은 평소 4시간을 넘지 않는다.
A씨는 1993년에 입사해 18년 만에 동기들보다 빠른 승진을 했다. 모두가 부러워하는 A씨지만 그는 “이 방향이 맞다며 앞만 보고 달려왔는데 혹시 아닐 수도 있다는 회의감이 들 때가 가장 두렵고 힘들다”면서 멋쩍게 웃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11-1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