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대한민국은 휴가 스트레스] “얇아진 지갑에 동반자도 없어”

[커버스토리-대한민국은 휴가 스트레스] “얇아진 지갑에 동반자도 없어”

입력 2012-07-14 00:00
수정 2012-07-14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왜 나는 휴가를 못 떠나는가

지난해 말부터 한 시스템 통합(SI) 업체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김동우(30·가명)씨. 남들보다 입사는 늦었지만 어엿한 4대 그룹 계열사에 다니고 있는 터라 다른 이들의 부러움을 한몸에 받았다.

하지만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면서 말 못할 고민에 휩싸였다. 차곡차곡 월급을 모아 주식에 투자했는데 최근 주가 하락으로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데다 이를 만회한다고 가지고 있던 여윳돈마저 ‘물타기’에 쏟아부으면서 주머니 사정이 더 엉망이 된 탓이다.

13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됐지만 직장인들 사이에서 들뜬 분위기가 느껴지지 않는다. 국내외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지갑도 얇아진 데다 상당수 회사들도 비상경영 상태이기 때문이다.

최근 인터파크의 여행숙박 예약사이트 인터파크투어가 자사 블로그 방문자 378명을 대상으로 여름휴가의 최대 걸림돌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5%(271명)가 ‘가벼운 통장, 얇은 지갑’을 꼽았다. 이어 ▲휴가내기 어려운 회사분위기(13.4%) ▲같이 휴가를 떠날 사람(9.4%) ▲저질체력과 부끄러운 몸매(8.2%) 등이 뒤를 이었다.

저렴한 휴가에 대한 욕구는 비용과 일정의 간소화로 이어지고 있다. 여름휴가 예상 비용으로는 1인 기준 ‘10만~30만원’이 35.8%(141명)로 가장 많았고, ‘30만~50만원’(30.5%)이 뒤를 이었다. 일정은 ‘3박 4일’(51.5%)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1박 2일’(23.9%), ‘5박 7일’(15.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계획하고 있는 여름휴가 시기로는 ‘저렴하고 한산하게 즐길 수 있는 8월 말~9월 초’(43.4%)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상대적으로 이른 ‘7월 초·중순’을 선택한 비중도 23.1%나 됐다. ‘성수기인 7월 말~8월 초’의 비중은 24.4%에 그쳤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07-14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