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2010 중국인을 말한다 ② 신세대와 종교인
신세대를 이해하면 그 나라의 미래가 보인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세대인 1980·90년대생들을 들여다보면 중국의 변화 방향과 폭을 가늠할 수 있다. 급증하는 종교 신도들을 통해서도 달라지는 중국을 엿볼 수 있다. 무신론을 주창하는 공산당 체제 아래서 “신은 있다.”라고 말한다.달라진 중국 신세대와 신자들의 모습을 살펴봤다.#1. “톈안먼(天安門)이 왜 인터넷에서 검색이 안 돼요?”
중국 창사(長沙)의 후난대학교에서 컴퓨터를 전공하는 룽솨이(龍帥·19)는 ‘톈안먼 사건’이 검색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느냐는 질문에 황당하다는 표정을 지었다. ‘1989년 사건을 아느냐.’고 묻자 고개를 젓는다. ‘톈안먼 사건’을 몰랐던 터라 정부의 인터넷 통제 정책을 얘기하면서 언급한 톈안먼을 있는 그대로, ‘베이징의 건축물’로 이해했던 것이다. 항저우(杭州)의 저장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잉(張穎·19)도 마찬가지였다. 톈안먼 사건은 물론 인터넷 통제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2. 우한(武漢)에서 만난 쉬제(許捷·21)는 공산당에 대한 생각을 묻자 “나와 큰 연관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당원이 될 의향이 있느냐고 묻자 “가입은 할 생각”이라고 답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공기업에 취업하려면 당원이 유리하니까요. 다른 일을 하더라도 당원이면 한번 ‘검증’ 받았다고 인식되니까, 일단 입당은 하려고요.”
민주화와 정치는 중국 신세대의 관심 밖에 있었다. 톈안먼 사태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였고, 들어 본 적은 있어도 ‘깊게 알고 싶지 않다.’든지 ‘모든 것을 알 필요는 없다.’는 얘기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었다. 베이징에서 만난 샤오팡(蕭芳·20)은 “인터넷을 통제하는 정책은 온당하다.”고까지 주장했다.
대신 취업 걱정과 ‘어떻게 하면 돈을 많이 벌 수 있을까.’ 같은 고민이 그들의 머릿속을 채우고 있었다.
여행 잡지 기자인 리양(李楊·24)은 “정치에 대해서는 별로 알고 싶지 않다.”고 선을 그은 뒤 “요즘 최대 관심사는 월급을 더 많이 받는 것”이라고 전했다. 돈을 벌면 독일 유학을 가고 싶다고도 했다. 대학생 마징(馬靜·20)은 “2008년 위기 이후 금융이 인기있는 학과가 됐다.”며 전공 선택 이유를 설명했다.
중국의 신세대는 ‘인터넷 세대’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학생은 물론 중·고등학생들도 인터넷으로 과제를 하고 친구들과는 ‘QQ’(메신저)로 대화한다. 최근 광둥(廣東)성의 혼다차 포산(佛山)공장 파업을 주도한 ‘신세대 농민공’ 역시 ‘QQ’와 휴대전화 문자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소통하면서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 류징(劉靜·22)은 “컴퓨터를 안 하려고 노력하지만 자제가 잘 안 된다.”면서 “인터넷 없이는 하루도 살기 어렵다.”고 전했다.
인터넷을 통해 알고 싶은 것만 받아들이고 하고 싶은 것만 하려는 ‘소황제(小皇帝)적 사고 방식’에서 벗어나 바깥 세상에 눈을 뜬 이들은 금기시되는 공산당에 대한 비판에도 거침 없었다. 샤먼(廈門)의 대학원생 린산(林?·24)은 인터넷 통제에 대해 “절대 동의할 수 없다.”면서 “주제만 조금 바꾸면 검색할 수 있는데, 어떻게 보면 (공산당이) 우매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베이징 수도사범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하는 둥링위(董玲玉·20) 역시 “국가에서 일어난 모든 것을 알 권리가 있다.”고 꼬집었다.
글·사진 베이징·톈진·우한·창사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0-06-22 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