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 밖의 시인들은 얼마나 시답잖은지』 박제영 시집/ 달아실
‘시인 박제영’의 직업명은 ‘문장수선공’이다. 그는 2004년 시집 『푸르른 소멸』을 출판했다. 20년 후 시집 『시집 밖의 시인들은 얼마나 시답잖은지』를 출판했는데 『푸르른 소멸』 개정판이다. 20년 전 발표했던 시들을 지난 20년 동안 갈고 닦으며 수선했다. 시인이 써서 발표한 시를 고쳐서 다시 발표하는 것은 정상인가? 정상이다. 제목이나 첫 구절만 대도 알 명시 중에는 시인이 자신의 마음에 찰 때까지 수십, 수백 번 고쳐 쓴 시가 매우 많다.
시집의 표지 디자인은 대개 시인의 시각(詩角) 대변한다. 20년 전 『푸르른 소멸』 표지는 정중앙에 시인의 작은 얼굴 사진 하나 놓은 게 전부였다. ‘박제영=시인’의 길을 꿋꿋이 걷는 사람이라는 정체성의 강조였다. 2024년 『시집 밖의 시인들은 얼마나 시답잖은지』의 표지는 아무것도 없이 공백(空白)이다. 시를 이루는 텍스트는 문자이므로 ‘오직 문장으로 시를 말하겠다’는 시인의 의지를 은유로 표현한 것이다.
시인은 2021년 출판한 시집 『안녕, 오타 벵가』에서 ‘1906년 뉴욕의 브롱크스 동물원 사장은 모처럼 붐비는 사람들로 희희낙락 콧노래를 불렀어. 특별히 거금을 들여 데려온 동물이 시쳇말로 대박을 터뜨린 것이지.// 원숭이 우리 앞 팻말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어./ <나이 24세, 키 150cm, 몸무게 45kg, 인간과 매우 흡사함>… …// 믿을 수 없다고? 거짓말 같다고?// 그렇다면 봐,/ 저기 오타 벵가가 지나가잖아./ 오타 벵가가 웃고 있잖아. // 안녕, 오타벵가!’로 깊은 인간애를 드러냈다.
2024년 『시집 밖의 시인들은 얼마나 시답잖은지』에서 시인은 “시 쓰는 일 따위를 감히 산고産苦에 비교하는 너의 교만, 시 따위를 삶인 양 하는 너의 위선만 버린다면 시도 쓸 만한 일이겠지/ 시 쓰는 일이란 그저 변비, 그 배변의 고통보다 조금 못한 일임을 네가 인정한다면 시도 읽어줄 만한 일이겠지/ 그러므로 나는 네가 시를 써서는 안 된다 생각하는 것이고, 설령 네가 계속 시를 쓴다 해도 그 시를 읽지 않을 것이다”고 선언했다. 쌍수를 들고 이 선언을 환영한다. 위선의 탈을 벗는 것이야말로 시인 제1조건이므로!
『시집 밖의 시인들은 얼마나 시답잖은지』가 ‘주로 죽음을 노래한다’지만 “아내가 죽자 장자는 곡哭 대신 대야를 두드리고 노래를 불렀다. 삶을 귀히 대하듯 죽음을 대접하라. 죽음은 터부가 아니라 즐거운 놀이로서 대접해야 마땅하다.”며 「죽음은 삶의 일부가 아니라는 비트겐쉬타인氏의 주장은 틀렸다」는 시처럼 유쾌한 반전이 흐르는, 문장수선공의 기예(技藝)가 빛나는 시집이다. 박제영 시인은 가만히 숨만 쉬어도 시가 시답게 찾아올 것 같은 물과 숲의 도시 춘천에서 시를 쓴다. 어떤 시인들은 “시는 쓰는 게 아니라 찾아오는 것”이라고들 말을 한다.
최보기 (책글문화네트워크 대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