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갈리아’ 5년, 그 후
2015년 1월 터키에서 이슬람 무장단체 IS에 가담했다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10대 한국인 남성 김모군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남긴 글이다. 이슬람 극단주의 가입 이유로 여성혐오를 꼽은 그의 행적에 ‘페미니스트’는 실시간 검색어에도 올랐다.
그해 8월, ‘메갈리아’가 탄생했다. 일베(일간베스트)나 디시인사이드 등 남초 사이트는 물론 일상에서 숨 쉬듯 벌어지는 여성혐오에 대항해 거울로 반사하듯 보여 준 미러링은 이제껏 본 적 없는 방식이었다. ‘김치녀’는 ‘한남충’으로, ‘맘충’은 ‘애비충’으로 치환하는 이들의 방식이 ‘여혐혐’인지, ‘남혐’인지를 놓고 사회가 들썩였다. 메갈리아에 대한 사회적 평가는 극과 극이다. 한쪽에선 ‘여자 일베’라고 비난하지만, 다른 쪽에선 ‘여성들의 해방구’라고 평한다.
한 가지는 확실하다. 한국 페미니즘사(史)에서 메갈리아는 빼놓을 수 없는 전환점이 됐다. 이 사이트는 1년도 안 돼 폐쇄됐지만, 수많은 메갈리안은 남았다. 온라인에서 꿈틀대던 여성의 목소리는 2016년 서울 강남역 살인사건 추모집회를 거쳐 2018년 혜화역에서 대규모 시위로 나타났고, 2020년 정치권까지 뒤흔드는 주요 의제로 자리잡았다. 그간 소수 학자들의 영역이었던 페미니즘은 메갈리아 이후 일상의 영역으로 확대됐다. 메갈리아를 혐오세력으로만 지칭할 수 없는 이유다.
한계도 있다. 미러링이 또 다른 혐오라는 지적과 함께 페미니즘에 대한 백래시(반발)도 커졌다. “너 ‘메갈’이냐”란 말은 과거의 ‘빨갱이’ 같은 낙인이 됐다. 서울신문은 메갈리아 이후 5년간 한국사회에서 페미니즘 논의가 얼마나 달라졌는지, 여성운동이 가야 할 길은 무엇인지를 3회에 걸쳐 짚어 본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2020-08-1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