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섭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한반도의 지진 발생 빈도가 2000년 이후 높아졌을 뿐 아니라 진도도 강해지고 있다. 경주지진과 여진 연구를 맡은 강태섭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에게 ‘한반도의 지진과 과제’ 등을 3일 들어봤다.강태섭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지구 어느 곳에도 지진 안전지대는 없다. 다만, 지진 발생 빈도가 다를 뿐이다. 역사기록을 보면 한반도는 과거 큰 지진이 발생해 여러 차례 피해를 입었다. 따라서 지난해 잦았든 지진이 특별히 새로울 것 없고, 앞으로도 흔히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줬다.
→한반도에서 6.5~7.0 규모의 강진 발생이 가능한지.
-과거 한반도에서는 규모 6.5 내외의 지진이 발생했다. 학자마다 차이는 있지만, 이 정도의 규모가 한반도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지진으로 분석된다. 한반도처럼 지진 발생 빈도가 낮은 지역의 경우 큰 지진이 발생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매우 길다. 이 기간이 길수록 발생 확률도 낮다. 발생 기간과 확률을 예측하는 게 학계의 오랜 숙제다.
→경주에서 처음으로 활성단층이 발견됐는데.
-9·12 경주지진 이후 부경대·부산대·서울대·극지연구소로 구성된 경주지진 여진 관측 연구그룹이 여진 활동을 관측·분석하면서 경주지진을 일으킨 단층운동의 위치와 범위, 방향 등을 상세하게 확인했다. 이 정보는 진앙 주변에서 앞으로 발생 가능한 단층운동을 가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서울·수도권은 지진으로부터 안전한가.
-역사기록에 보면, 수도권에서도 서기 27년과 1518년 등에 큰 지진 피해가 있었다. 또 규모는 크지 않지만, 2010년 시흥과 지난해 수원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따라서 수도권도 지진 안전지대는 아니다.
→원자력발전소는 안전한지.
-원전을 건설할 때 주변 지질을 조사하고 내진설계에 반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지진과 지질조사 등을 통해 최대 규모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다. 지난해 지진은 미래를 대비하는 좋은 계기가 됐다. 하지만, 불안감 해결을 위해 이전 설계 기준을 재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기준을 높이는 노력도 이뤄져야 한다.
→앞으로 과제는 어떤 게 있나.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많은 국토가 개발돼 지진을 일으킬 활성단층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경주처럼 지진이 지하 깊은 곳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매우 작은 규모의 미세한 지진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이동식 지진관측망의 운영이 반드시 필요하다. 전국에 걸쳐 있는 지진 유발 단층을 파악하려면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7-01-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