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3만명 시대] 탈북민 20% “北에 돌아가고파”…이방인 아닌 이웃으로 받아줘야

[탈북 3만명 시대] 탈북민 20% “北에 돌아가고파”…이방인 아닌 이웃으로 받아줘야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16-11-14 22:32
업데이트 2016-11-15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난의 행군’ 이후 입국 늘어…정착 실패시 제3국 망명 선택

북한이탈주민(탈북민)은 1945년 해방 이후 6·25전쟁 때까지는 ‘실향민’, 그 뒤 1980년대까지는 ‘귀순동포’ 혹은 ‘귀순용사’, 1990년대 이후엔 ‘탈북자’, ‘탈북민’ 등으로 명칭이 시대 변화에 따라 달라졌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연합뉴스
연합뉴스


탈북민의 입국은 1993~1997년 굶주림에 의한 아사자가 늘어난 ‘고난의 행군’을 시작으로 2000년대 들어 급격히 늘었다. 2009년 2914명까지 늘었던 탈북민 수는 북한 당국의 국경 통제 및 탈북 처벌 강화 등의 영향으로 2011년 2706명, 2012년 1502명, 2013년 1514명, 2014년 1397명, 지난해 1276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나 올해 들어 북한의 2차례 핵실험으로 인해 국제사회가 유례없는 대북 제재로 압박을 가하자 해외에서 근무하던 외교관, 무역 일꾼, 식당 종업원 등 다양한 부류에서 탈출 행렬이 이어져 급기야 지난 11일 3만명을 넘어섰다.

이미지 확대
탈북민이 늘어나면서 이제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이웃이 됐다. 방송가에서도 ‘북한 이야기가 많아졌다’는 분위기다. 뉴스 속 북한의 소식이 아니라 북한에서 살아온 탈북자들의 경험을 듣는 채널A ‘이제 만나러 갑니다’와 ‘잘 살아보세’, TV조선 ‘모란봉클럽’과 ‘애정통일 남남북녀’ 등이 대거 등장해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통일부에서 집중하는 것은 탈북민 3만명 시대를 맞아 대한민국에 들어오는 탈북민들이 어떻게 잘 정착해서 살 수 있게 만들 것인가”라며 “정착 지원 정책을 ‘사회통합형’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회통합’, ‘자립·자족’을 얘기하지만 지원에 너무 매몰돼 있지 않았느냐는 생각이 든다”면서 “계속 사람들을 만나며 개선 방향을 생각했고, 정책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탈북민들은 사회적 편견 때문에 힘들어한다. 북한인권정보센터와 NK소셜리서치가 지난 3월 발표한 탈북민 설문조사에 따르면 ‘다시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은 생각이 있느냐’는 물음에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20.8%에 달했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소장은 14일 “(탈북민이) 북한을 떠나 남한에 입국해도 사회적 편견과 경제적 격차를 해소할 방법이 없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탈북민들이 좌절하면 결과적으로 북한으로 되돌아가기를 원하거나 제3국 망명을 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설명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6-11-15 9면
많이 본 뉴스
고령 운전자 사고를 줄이려면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이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책은 무엇일까요?
고령자 실기 적성검사 도입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 강화
고령자 안전교육 강화
운행시간 등 조건부 면허 도입
고령자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