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쉽게 전달하려 만화의 세계로… 요즘 美진출 준비 바빠요”
정민석(51) 아주대 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주변에선 괴짜로 통한다. 달리 말하면 개성이 한껏 넘친다. 머리를 빡빡 밀고 다니는 것도, 가벼운 등산복 차림으로 외출하는 것도, 직접 종이에 인쇄해 만든 명함을 들고 다니는 것도 정형화된 교수 이미지와 거리가 멀다. 무엇보다 그는 만화를 그리는 교수로 유명하다. 그림체는 엉성하다. 하지만 그 안에 담긴 내용만큼은 전문적이다. 그가 그리는 만화는 해부학, 의대 생활 등을 소재로 한 과학만화이기 때문이다. 개인 홈페이지(www.anatomy.co.kr)에서 그가 그려온 ‘해랑 선생의 일기’, ‘꽉 선생의 일기’ 등 모든 작품을 무료로 볼 수 있다.정민석 교수
정 교수가 만화를 그리는 데 큰 영향을 준 인물은 ‘꺼벙이’로 유명한 길창덕 화백이다. 길 화백의 작품을 보고 깔깔거리던 어린 시절, 만화가의 꿈을 키웠다. 부모의 반대로 꿈을 접고 의대에 진학했지만, 임상 의학 대신 기초 의학 교수의 길을 걸으며 만화를 그리고 있다. 그가 명랑체로 만화를 그리는 것도 평생 잊지 못할 감동과 웃음을 준 길 화백의 영향이다.
그 다음으로 영향을 준 사람은 ‘먼나라 이웃나라’의 이원복 덕성여대 교수다. 정 교수는 “만화를 빌려 보는 데 익숙했던 한국 사람들이 처음으로 만화책을 사서 책꽂이에 꽂아놓게 한 작품”이었다고 ‘먼나라 이웃나라’를 평가했다. 그가 처음 그린 해부학 만화도 형식을 ‘먼나라 이웃나라’에서 따왔다. 정 교수는 우스이 요시토의 ‘짱구는 못말려’(일본명 크레용 신짱)도 영향받은 작품으로 꼽으며 “어른들의 심리를 잔인할 정도로 낱낱이 해부하는 심리학 만화”라고 평가했다.
2000년 즈음부터 본격적으로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으니 10년이 훌쩍 넘었다. 처음에는 주변 반응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교수가 할 일이 없어 그러느냐’, ‘의사 체면 깎아 먹는다’는 이야기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지금은 그의 그림이 국립과천과학관에 전시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그의 만화 작업에 연구비를 지원할 정도로 인정받고 있다. 임상 쪽으로 훌륭한 국내 의학만화는 없느냐고 했더니 의사 신문 ‘청년 의사’에 연재되는 ‘쇼피알’을 추천했다. 현직 의사가 글을 쓰고 만화가 정훈이가 그리는 작품이다.
“요즘 과학만화는 많아도 과학인이 그린 것은 거의 없어요. 기껏해야 감수 정도했을 뿐이죠. 과학인이 진짜 좋은 과학 만화를 그릴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저뿐만 아니라 과학만화를 그리는 여러 과학인들이 나와 경쟁했으면 좋겠어요.”
그는 해외 진출을 꿈꾸고 있다. 미국 출판사와 접촉하는 중이다. 이미 해부학 만화 등을 영어로 옮기는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지난해 가을에는 해부학 만화를 교육 관점에서 분석한 그의 논문이 국제 학술지인 ‘해부 과학 교육’(ASE)에 실리는 영광을 안기도 했다.
“여러 가지 문화 중에 만화만큼 빠져들게 만드는 것은 없죠. 전 세계적으로 미국과 일본 만화를 보며 그 나라 문화에 엄청나게 빠져들잖아요. 저도 만화를 그리다 보면 미국, 일본과는 다른 우리 것을 담게 돼요. 제 만화가 해외로 나간다는 것은 우리 문화를 수출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요. 전문 만화가들이 보다 많이 도전했으면 좋겠어요. 생각보다 쉬워요. 도전을 두려워하는 게 문제인 것 같아요.”
글 사진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2-07-2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