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석 연세대 교수 등 연구팀
암·당뇨와 같은 복잡질환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기능유전자 네트워크 예측모델’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방법이 국내 연구자 주도로 개발됐다.이인석 연세대 교수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했다. 공동연구팀의 성과는 유전체학 전문학술지인 게놈 리서치 온라인판에 지난 9일 게재됐다.
복잡질환은 다양한 유전자들이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병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유전자 치료 등의 개념을 설명할 때 특정 유전자가 특이하게 발현하면 특정 암 발생률이 높을 것으로 쉽게 예측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 암이나 당뇨와 같은 복합질환은 개입하는 유전자가 많고 상호작용을 통해 발병하게 된다.
암의 경우 300~600개의 관련 유전자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놈 프로젝트 등에 따라 인간 유전자 지도가 완성됐음에도 유전자 치료의 발전이 지지부진한 것은 이 때문이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무작위 탐색법 등을 통해 질병 조절 유전자들의 상관관계 지도를 구축하려고 했다. 하지만 인간의 유전자가 총 2만개라고 하면, 이 가운데 두 유전자끼리 가능한 상관관계 수가 2억개가 돼 현실적으로 규명할 수 없다는 회의론이 제기되어 왔다.
공동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기능유전자 네트워크 예측모델은 기능이 유사한 유전자들끼리의 관련성을 지도로 만든 기능유전자 네트워크를 통해 질병 유발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식이다.
성격이 비슷한 사람끼리 가깝게 지내면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처럼 유전자도 기능적으로 서로 연결된 것들끼리 네트워크를 형성할 것이라는 가설에서 출발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6-22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