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된다

한국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된다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4-11-05 17:49
수정 2024-11-06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밥·김치와 한국음식 문화의 핵심
집마다 달라, 가족 역사·전통 담겨”
등재 권고 판정… “한식 세계화 기여”

이미지 확대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권고’ 판정을 받은 5일 경기 안성 서일농원에서 직원들이 담가 둔 장을 관리하고 있다. 뉴스1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권고’ 판정을 받은 5일 경기 안성 서일농원에서 직원들이 담가 둔 장을 관리하고 있다.
뉴스1


과거 종갓집에서 수백 년씩 씨간장을 대물림한 것은 장(醬)이야말로 한국음식의 맛을 좌우하는 밑바탕이기 때문이다. 최근 세계적인 인기를 끈 넷플릭스 ‘흑백요리사’에서 피 말리는 요리 경연의 주요 소재로 다뤄져 관심을 끈 간장, 된장, 고추장을 비롯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이번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될 전망이다. 최종 등재된다면 한국음식 문화로는 201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김장 문화 이후 두 번째다.

국가유산청은 5일(현지시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부 간 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가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에 등재 권고 판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과거 사례를 보면 등재 권고 판정이 뒤집힌 사례는 거의 없었다.

평가기구가 주목한 것은 유형유산인 장 자체가 아니라 장 담그기 문화다. 평가기구는 한국의 장 문화에 대해 “밥, 김치와 함께 한국음식 문화의 핵심”이라며 “집마다 (맛이나 방식이) 다르며 각 가족의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다”고 평가했다.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에 등재되면 한국의 23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된다. 한국은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년)을 시작으로 22건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했다. 중국, 프랑스에 이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인류무형문화유산을 갖고 있다.

장 담그기는 고대부터 전승돼 온 전통 음식 문화로, 장이라는 음식뿐 아니라 재료를 준비하고 장을 만드는 전반적인 과정을 아우른다. 특히 콩을 재배하고 메주를 만든 뒤 장 만들기, 장 가르기, 숙성과 발효 등의 과정을 거치는 한국 고유의 장 문화는 일본과 중국의 장 문화 속성과는 다르다.

김재경 농림축산식품부 외식산업진흥과장은 “동북아 지역에 걸쳐 발효음식과 두장(콩으로 만든 장) 문화가 있는데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면 중국과는 다른 한국만의 장 문화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도 높아져 한식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가유산청의 전신인 문화재청 시절부터 장 담그기 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2022년 등재 신청 이후에는 ‘장 문화 포럼’, ‘메주 만들기 교실’ 등을 통해 장 문화를 홍보했다. 지난달 서울 삼청각에서 열린 ‘한식 콘퍼런스’에서는 미슐랭 셰프들이 장 문화를 홍보하고 전시하기도 했다.
2024-11-06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