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련하게 문제의식 벼려내… 당장 논쟁하고 싶게 만들어[서울신문 2024 신춘문예 - 평론 심사평]

노련하게 문제의식 벼려내… 당장 논쟁하고 싶게 만들어[서울신문 2024 신춘문예 - 평론 심사평]

입력 2024-01-02 11:08
수정 2024-01-02 1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형중·양경언

이미지 확대
‘2024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을 심사한 양경언(왼쪽)·김형중 문학평론가가 작품들을 보며 의견을 나누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2024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을 심사한 양경언(왼쪽)·김형중 문학평론가가 작품들을 보며 의견을 나누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비평은 작품을 꼼꼼하게 분석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글쓴이의 가치 판단, 작품에 대한 평가가 수반되는 작업이란 의미에서 까다롭다. 무언가를 읽고 드는 견해를 펼치는 과정은 곧 작품이 쓰이고 읽히는 세상과 토론하면서 지금 시대가 필요로 하는 지혜를 공동으로 구축해 나가는 일에 값하기 때문이다.

202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비평 부문에서는 총 14편의 응모작 모두가 바로 그러한 비평의 의미를 새기면서 글을 써나갔으리라고 여겨질 정도로 충실한 내용으로 채워져 있었다. 응모작 편수가 타 장르에 비해 많지 않을지라도, 다른 어느 때보다도 헛된 응모작이 없었던 상황 속에서 심사위원들은 비평의 역할이 중요한 시대임을 새삼 느끼며 진지하게 심사에 임했다.

응모작 중 상당수가 ‘애도와 우울’, ‘비인간’을 주제로 다뤘다는 점이 단연 눈에 띄었다. 읽고 쓰는 사람들의 최근 관심사가 삶과 죽음, 그에 대한 문학의 길로부터 비켜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고무적이었다. 한편 형식적인 차원에서는 기존 비평문들에 대한 논평 없이 논의를 전개해 나간 응모작이 많아 아쉬웠다. 비평가가 어떤 문학적 지형을 그리는지는 비평 담론을 큐레이팅한다고 해서 확인되지 않는다. 몇몇 응모작이 ‘타자’, ‘윤리’, ‘실패’와 같은 개념을 아무런 점검 없이 글 곳곳에 들인 점 역시도 평가할 대목이다. 비평문을 이루는 개념 중 비평가의 입장이 담겨 있지 않은 것은 한 개도 없다. 심사위원들은 관성을 뛰어넘어 좀더 치열하게 글 자체의 문제의식을 밀고 나가는 글을 원했다.

언급한 단점들이 좀처럼 보이지 않는 글 ‘시선과 그림자-문학적 커먼즈를 실현하는 방식’, ‘미래는 죽은 사물의 시간-안태운 황유원의 시’ 두 편이 최종까지 논의됐다. 두 편 모두 작품에 대한 평가가 분명했고 하고자 하는 얘기 또한 뚜렷했다. 심사위원들은 결론까지 노련하게 문제의식을 벼려낸 후자의 글에 당선의 악수를 청하기로 했다. 해당 글은 심사위원들로 하여금 당장 논쟁하고 싶게 만들었다. 당선자에게는 축하를, 응모자분들께는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4-01-02 4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