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 안전진단서 심각한 결함 발견돼
서현교, 백현교 등 우회도로 이용해야
![성남시가 보행로 기울어짐 현상으로 통제 중인 불정교와 수내교, 금곡교의 전체 차로 중 1개 차로를 보행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 뒤 통행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신상진(가운데) 성남시장이 정자교 붕괴 현장을 방문 상황을 설명 듣고 있다. 성남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4/11/SSC_20230411170022_O2.jpg)
![성남시가 보행로 기울어짐 현상으로 통제 중인 불정교와 수내교, 금곡교의 전체 차로 중 1개 차로를 보행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 뒤 통행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신상진(가운데) 성남시장이 정자교 붕괴 현장을 방문 상황을 설명 듣고 있다. 성남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4/11/SSC_20230411170022.jpg)
성남시가 보행로 기울어짐 현상으로 통제 중인 불정교와 수내교, 금곡교의 전체 차로 중 1개 차로를 보행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 뒤 통행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신상진(가운데) 성남시장이 정자교 붕괴 현장을 방문 상황을 설명 듣고 있다. 성남시 제공
시는 지난 5월부터 석 달간 1993년 준공된 수내교를 포함한 탄천 교량 18개에 대해 정밀안전진단을 진행했다.
그 결과 수내교는 주요 부재의 심각한 결함으로 시설물 안전에 위험이 있어 즉각 사용을 금지하고 보강 또는 개축이 시급한 불량(E) 등급으로 평가됐다.
이에 시는 수내교를 긴급 사용 제한하고 보수 및 보강 방안 등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수내교는 지난 4월 5일 정자교 붕괴 사고 발생 직후 ‘보행로 처짐’ 상태가 심각하다는 시민들의 민원이 제기돼 즉시 긴급 사용 제한 조치가 이뤄진 후 같은 달 13일 통행이 재개됐다. 그럼에도 불안감이 지속되자 시는 6월 13일 수내교 양방향 차로를 일부 조정해 임시 보행로로 개통한 바 있다.
시는 나머지 탄천 교량 17개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결과가 9월 말까지 차례대로 나오면 후속 조처를 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