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다음 뉴스 ‘이용자 구독제’로 개편
네이버·카카오 AI 알고리즘 추천 배제 수순
정치권 개입과 정치적 편향성 시비에서 자유
카카오가 네이버처럼 뉴스 이용자가 원하는 언론사만 구독해 뉴스를 소비하는 방향으로 다음 포털 뉴스를 전격 개편했다. 이용자의 뉴스 선택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정치권이 끊임없이 제기하는 포털 뉴스의 ‘정치적 편향성’ 논란에서도 자유로워지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다음 뉴스 ‘마이 뉴스’ 탭 신설25일 카카오에 따르면 모바일 다음 첫 화면엔 이용자가 선택한 뉴스를 모아 볼 수 있는 ‘마이 뉴스’ 탭이 새로 생겼다. 마이 뉴스에 노출되는 뉴스는 포털이 아닌 언론사가 직접 편집하며, 인링크(포털 내에서 뉴스 보기)와 아웃링크(언론사 홈페이지로 이동해 뉴스 보기) 방식 중에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도 언론사가 정할 수 있다.
뉴스 정렬 방식도 ‘최신순’, ‘개인화순’, ‘탐독순’ 등 3가지 뉴스 배열 중에 이용자가 고를 수 있다. 최신순은 작성 시간을 기준으로, 개인화순은 이용자의 기존 뉴스 이용 이력을 토대로 이뤄진 추천을 기준으로, 탐독순은 이용자가 오래 읽은 기사를 기준으로 보여 준다. 이 외에도 헤이뉴스(Hey.News), 삼프로TV 등 콘텐츠사에서 숏폼 영상을 제공하는 ‘오늘의 숏’,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을 모아 볼 수 있는 ‘탐사뉴스’, 팩트체크 기사만 볼 수 있는 ‘팩트체크 뉴스’ 등의 섹션도 추가됐다.
댓글 문화 변화를 위한 조치도 취해졌다. 우선 뉴스 댓글의 사회적 책임과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선거 기간에 한시적으로 운영한 ‘본인 확인제’를 상시 적용한다. 카카오에 따르면 이달 기준 97%의 이용자가 본인 확인을 마친 상태다. 하나의 아이디로 작성 가능한 댓글 수도 기존 하루 30개에서 20로 축소한다.
임광욱 카카오 미디어사업실장은 “이용자들이 더 다양하고 폭 넓게 뉴스를 볼 수 있도록 새로운 뉴스 배열 방식과 언론사 구독 기능을 적용했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뉴스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더 나은 뉴스 이용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 뉴스도 구독제…“포털 개입 최소화”양대 국내 정보기술(IT) 기업의 하나인 네이버도 최근 카카오와 유사한 방향성을 갖고 뉴스 개편 작업에 나섰다. 지난해 모바일에 이어 PC에서도 뉴스를 인공지능(AI) 알고리즘 추천이 아닌 이용자가 선택한 언론사를 보여 주는 구독제로 변경한 데 이어 올해엔 언론사 기자홈에 이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는 등 변화를 이어 왔다. 아울러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 검토위원회’를 꾸려 주기적으로 네이버 뉴스 검색·추천 알고리즘이 특정 이념이나 성향에 좌우되지 않는지 점검하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이용자 선택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포털 뉴스를 개편하는 것은 정치권의 입김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한 의도가 함께 담긴 것으로 보인다. 초창기 포털은 직원이 직접 뉴스 노출 순서를 편집했지만, 정치적 편향성 문제가 제기되면서 사람을 배제하고 AI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하지만 AI 알고리즘 방식 역시 정치권 등 외부의 개입에 따라 인위적으로 바뀔 수 있다는 문제 제기는 계속 이어졌다. 2020년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다음 뉴스를 문제 삼으며 보좌진에게 ‘카카오 들어오라 하세요’라고 문자를 보낸 사건이 대표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카카오 모두 포털의 개입 자체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택하면서 지금의 구독제로 귀결된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카카오 AI 알고리즘 추천 배제 수순
정치권 개입과 정치적 편향성 시비에서 자유
다음 뉴스 개편
다음 뉴스 ‘마이 뉴스’ 탭 신설25일 카카오에 따르면 모바일 다음 첫 화면엔 이용자가 선택한 뉴스를 모아 볼 수 있는 ‘마이 뉴스’ 탭이 새로 생겼다. 마이 뉴스에 노출되는 뉴스는 포털이 아닌 언론사가 직접 편집하며, 인링크(포털 내에서 뉴스 보기)와 아웃링크(언론사 홈페이지로 이동해 뉴스 보기) 방식 중에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도 언론사가 정할 수 있다.
뉴스 정렬 방식도 ‘최신순’, ‘개인화순’, ‘탐독순’ 등 3가지 뉴스 배열 중에 이용자가 고를 수 있다. 최신순은 작성 시간을 기준으로, 개인화순은 이용자의 기존 뉴스 이용 이력을 토대로 이뤄진 추천을 기준으로, 탐독순은 이용자가 오래 읽은 기사를 기준으로 보여 준다. 이 외에도 헤이뉴스(Hey.News), 삼프로TV 등 콘텐츠사에서 숏폼 영상을 제공하는 ‘오늘의 숏’,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을 모아 볼 수 있는 ‘탐사뉴스’, 팩트체크 기사만 볼 수 있는 ‘팩트체크 뉴스’ 등의 섹션도 추가됐다.
댓글 문화 변화를 위한 조치도 취해졌다. 우선 뉴스 댓글의 사회적 책임과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선거 기간에 한시적으로 운영한 ‘본인 확인제’를 상시 적용한다. 카카오에 따르면 이달 기준 97%의 이용자가 본인 확인을 마친 상태다. 하나의 아이디로 작성 가능한 댓글 수도 기존 하루 30개에서 20로 축소한다.
임광욱 카카오 미디어사업실장은 “이용자들이 더 다양하고 폭 넓게 뉴스를 볼 수 있도록 새로운 뉴스 배열 방식과 언론사 구독 기능을 적용했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뉴스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더 나은 뉴스 이용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 뉴스도 구독제…“포털 개입 최소화”양대 국내 정보기술(IT) 기업의 하나인 네이버도 최근 카카오와 유사한 방향성을 갖고 뉴스 개편 작업에 나섰다. 지난해 모바일에 이어 PC에서도 뉴스를 인공지능(AI) 알고리즘 추천이 아닌 이용자가 선택한 언론사를 보여 주는 구독제로 변경한 데 이어 올해엔 언론사 기자홈에 이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는 등 변화를 이어 왔다. 아울러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 검토위원회’를 꾸려 주기적으로 네이버 뉴스 검색·추천 알고리즘이 특정 이념이나 성향에 좌우되지 않는지 점검하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이용자 선택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포털 뉴스를 개편하는 것은 정치권의 입김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한 의도가 함께 담긴 것으로 보인다. 초창기 포털은 직원이 직접 뉴스 노출 순서를 편집했지만, 정치적 편향성 문제가 제기되면서 사람을 배제하고 AI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하지만 AI 알고리즘 방식 역시 정치권 등 외부의 개입에 따라 인위적으로 바뀔 수 있다는 문제 제기는 계속 이어졌다. 2020년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다음 뉴스를 문제 삼으며 보좌진에게 ‘카카오 들어오라 하세요’라고 문자를 보낸 사건이 대표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카카오 모두 포털의 개입 자체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택하면서 지금의 구독제로 귀결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