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그림자였던 ‘사정권력 정점’… 靑 권력지형 지각변동 예고

대통령 그림자였던 ‘사정권력 정점’… 靑 권력지형 지각변동 예고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2-03-14 20:38
수정 2022-03-15 0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욕의 민정수석실 역사 속으로

대다수 검찰 출신… 국정에 영향력
불법사찰·인사검증 실패 등 논란
文정부, 조국 등 5명 ‘불명예 낙마’
尹, 靑해체 후 정책집중 의지 피력

이미지 확대
尹, 집무실 첫 출근… 이철규·장제원과 인사
尹, 집무실 첫 출근… 이철규·장제원과 인사 윤석열(오른쪽) 대통령 당선인이 14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집무실로 출근하던 중 총괄보좌역으로 임명된 이철규(왼쪽) 의원과 악수하고 있다. 가운데는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
정연호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4일 차기 정부에서 폐지를 공식화한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국가 사정권력의 정점으로 불리는 기관이다.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 ‘청와대 슬림화’를 위해 민정수석실 폐지를 공약한 바 있다. 수석비서관제 폐지와 영부인을 지원하는 제2부속실 폐지, 대통령실 인원 30% 감축 등이 포함돼 있지만, 민정수석실 폐지는 권력지형을 바꾸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다른 공약들과는 의미가 다르다.

민정수석실은 검찰·경찰·국가정보원·감사원·국세청 등 5대 권력기관을 관할하고 대통령 친·인척 동향 파악뿐만 아니라 고위공직자 인사를 검증·감찰한다. 박정희 정부 때인 1968년 신설됐고, 김대중 정부 때 권한이 과도하다는 이유로 폐지되기도 했지만, 1999년 부활했다.

통상 민정수석 자리에 대통령의 ‘복심’을 앉히거나, 검찰 출신들이 자주 맡았던 까닭이다. 박근혜 정부에서 특수통 검사 출신 우병우 민정수석이 국정농단 묵인과 공직자 불법 사찰 혐의로 기소되는 등 역대 민정수석들은 크고 작은 논란에 휩싸여 왔다. 문재인 정부는 검찰 출신을 임명하는 관행을 깨겠다며 법학 교수 출신인 조국(전 법무부 장관)을 초대 민정수석에 임명했지만, 논란이 반복되기는 마찬가지였다. 현 정부에서는 김진국 전 민정수석이 아들이 입사지원서에 아버지 직업을 밝힌 것이 드러나 지난해 12월 자진 사퇴하는 등 민정수석의 낙마 사례가 5차례에 이른다.

윤 당선인은 민정수석실이 현 대통령제를 ‘제왕적’으로 만드는 핵심 요인이라고 보고 있다. 직제상 ‘차관급’에 불과한 민정수석이 사실상 대통령의 그림자 역할을 하며 사정당국을 통해 국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이 과정에서 비정상적 행태가 벌어졌다는 의미다. 윤 당선인이 이날 김대중 정부 때 폐지된 경찰 ‘사직동팀’을 언급한 것은 사정기관들이 과거 불법적 행태를 저질렀음을 우회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윤 당선인은 이날 “일명 사직동팀은 있을 수 없다”며 과거 민정수석실이 합법을 가장해 불법을 저지르고, 세평을 검증한다며 불법적인 사찰을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과거와 다를 것이라던 문재인 정부에서도 ‘민정수석 잔혹사’가 이어진 만큼 단순히 비검찰 출신이나 개혁적 인사를 민정수석에 앉히는 수준으로는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대선 레이스 때 ‘집권 시 전 정권 적폐수사’ 발언으로 정치보복 논란이 일어났던 것과 관련해 민정수석실을 폐지해 청와대가 정치보복을 기획하거나 뒤에서 관여하는 일은 없을 것임을 강조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일각에서는 불과 1년여 전까지만 해도 검찰총장으로 몸담아 검찰 조직의 면면을 누구보다 잘 아는 윤 당선인으로선 굳이 민정수석실을 유지할 필요성을 못 느꼈을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윤 당선인은 민정수석실 폐지와 함께 청와대를 해체에 가깝게 재구성하고 대통령은 정책에 집중한다는 입장이다. 과거 민정수석실이 담당했던 배우자 및 친·인척, 측근, 고위공직자 비위 감시 등은 특별감찰관을 재가동해 역할을 맡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민정수석실 폐지는) 제왕적 대통령의 폐해를 청산하겠다는 당선인 구상의 일단을 피력한 것”이라고 밝혀 향후 인수위 논의 과정에서 민정수석실 폐지에 따른 제도 보완이 뒤따를 것임을 시사했다.
2022-03-1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