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뭇거뭇한 고대의 풍경…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경북 청송 지질기행
경북 청송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다. 관내 일부 지역만이 아니라 군 전역이 그렇다. 지질공원에 관한 한, 지형적 특성이 잘 드러나는 계절은 겨울이다. 온 산하가 헐벗을 때라야 감춰진 풍경들이 온전히 드러난다. 여기에 눈이라도 살짝 덮이면 금상첨화다. 나뭇가지에 애기 손톱만 한 이파리가 파릇파릇 돋아나는 초봄도 겨울 못지않게 좋다. 살풍경한 단색조의 지형들이 이때 비로소 생동감 넘치는 풍경으로 변한다. 이도 저도 아닌 어정쩡한 이 계절에 청송을 찾은 건 이 때문이다.경북 청송의 지질명소는 크게 주왕산 권역과 신성계곡 권역으로 나뉜다. 주왕산 권역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주왕산 기암단애(사진)는 청송 지질명소 가운데 가장 이름난 볼거리이기도 하다.
사실 지질은 매우 어렵고 복잡하다. 몇 해에 걸쳐 공부해도 알기 어려운 걸 한나절 걸음으로 파악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 안에 담긴 무수한 시간들을 상상할 수는 있다. ‘땅의 역사’와 마주한다는 것만으로도 지질공원을 찾는 값어치는 충분히 하지 않을까 싶다.
청송의 지질명소는 모두 24곳이다. 9곳이 몰려 있는 주왕산 권역과 4곳의 지질명소를 순환하는 ‘녹색길’이 조성된 신성계곡 권역 등이 핵심으로 꼽힌다. 주왕산 권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탐방로는 주왕산 입구에서 용추폭포까지 왕복 5.8㎞ 구간이다. 3시간 정도면 넉넉하게 돌아볼 수 있다. 휠체어도 오갈 수 있는 무장애길로 조성됐다.
주왕산은 화산 폭발로 형성된 다양한 지질 현상을 목격할 수 있는 곳이다. 공룡들이 뛰놀았던 중생대 백악기 때 주왕산은 화산 활동이 왕성한 곳이었다. 주왕산 일대에 500m 이상 쌓인 화산재는 단단하게 굳어 응회암이 됐고, 식는 과정에서 부피가 수축하고 암석이 떨어져 나가(절리)며 폭 150m에 달하는 웅장한 형태의 암벽을 이루게 됐다. 지질명소 1경으로 꼽히는 기암단애는 이렇게 만들어졌다.
기암(旗巖)은 중국 당나라에서 신라로 도망쳐 온 ‘주왕’의 전설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당시 신라 장수 마일성 등은 당나라의 요청으로 반역에 실패한 주왕을 잡은 뒤, 주왕산 첫 봉우리(巖)에 깃발(旗)을 꽂았다. 그곳이 바로 기암단애다.
기암단애와 어우러진 절집 대전사를 지나면 암석 속 파편이 후추처럼 보인다는 주방천 페퍼라이트, 다양한 주상절리와 만날 수 있는 연화굴, 수직 절리가 발달한 용추협곡, 3개의 하식 동굴이 있는 용연폭포 등이 줄줄이 펼쳐진다. 주방천 계곡과 이웃한 절골협곡 방면에도 주산지, 급수대 주상절리 등의 명소가 있다. 다만 편도 20~30분 거리의 주산지를 제외하면 서너 시간 넘게 소요돼 시간 안배를 잘해야 한다.
청송의 자랑인 꽃돌과 신성계곡의 붉은 절벽, 만안자암 단애. 노루용추 폭포(사진)와 달기폭포는 각각 노루용추계곡의 초입과 끝자락에 있다.
청송의 자랑인 꽃돌과 신성계곡의 붉은 절벽, 만안자암 단애. 노루용추 폭포와 달기폭포(사진)는 각각 노루용추계곡의 초입과 끝자락에 있다.
경북 청송의 지질명소는 크게 주왕산 권역과 신성계곡 권역으로 나뉜다. 신성계곡 ‘녹색길’의 날머리인 백석탄, 들머리인 방호정 감입곡류(사진). 승용차로 이동하며 둘러볼 경우엔 굳이 ‘녹색길’ 순서대로 돌아보지 않아도 된다.
경북 청송의 지질명소는 크게 주왕산 권역과 신성계곡 권역으로 나뉜다. 신성계곡 ‘녹색길’의 날머리인 백석탄(사진), 들머리인 방호정 감입곡류. 승용차로 이동하며 둘러볼 경우엔 굳이 ‘녹색길’ 순서대로 돌아보지 않아도 된다.
방호정 맞은편의 공룡발자국 화석지에는 초식공룡의 대명사인 브라키오사우루스(사진)와 육식공룡인 티라노사우루스 조형물이 관람객을 맞는다.
방호정 맞은편의 공룡발자국 화석지에는 초식공룡의 대명사인 브라키오사우루스와 육식공룡인 티라노사우루스(사진) 조형물이 관람객을 맞는다.
청송의 자랑인 꽃돌과 신성계곡의 붉은 절벽, 만안자암 단애(사진). 노루용추 폭포와 달기폭포는 각각 노루용추계곡의 초입과 끝자락에 있다.
신성계곡의 절정은 백석탄이다. 말 그대로 ‘하얀 돌이 반짝거리는 개울’이다. 냇가엔 수천, 수만 년의 시간이 깎고 다듬은 흰 바위들이 널려 있다. 돌에 함유된 성분에 따라 희다 못해 푸른 빛이 감돈다. 항아리 모양의 오목한 구멍이 뚫린 바위도 있다. 이를 포트홀이라 부른다. 포트홀은 물이 오랜 세월 동안 소용돌이치며 깎아낸 흔적이다. 요강만 한 바위 구멍에 대체 얼마나 긴 시간이 담겨 있는 것인지 가늠조차 어렵다.
청송의 자랑인 꽃돌(사진)과 신성계곡의 붉은 절벽, 만안자암 단애. 노루용추 폭포와 달기폭포는 각각 노루용추계곡의 초입과 끝자락에 있다.
청송 여정에서 꼭 찾아야 할 곳 하나만 덧붙이자. 야송미술관은 한국화가인 야송 이원좌(1939~2019) 화백의 작품 등을 소장해 전시하고 있는 군립미술관이다. 폐교된 초등학교를 미술관으로 리모델링했다. 여기에 한국 최대 동양화로 꼽히는 청량대운도(淸凉大雲圖)가 전시돼 있다. 길이 46m, 높이 6.7m에 달하는 실경산수화다. 야송이 봉화의 청량산을 주제로 1989년부터 1992년까지 3년에 걸쳐 그렸다. 워낙 규모가 커 청량대운도만 전시하는 전시관을 따로 뒀다.
그림 왼쪽 하단엔 예의 낙관이 찍혀 있다. 야송이 두 손과 얼굴, 두 발을 동원해 찍은 이른바 ‘오체투지’ 낙관이다. 당연히 일반적인 낙관에 비해 크기가 남다를 수밖에. 하지만 이조차 청량대운도의 높이에 비하면 채 3분의1이 못 된다. 이곳 역시 코로나19로 폐쇄됐다가 지난달 다시 문을 열었다.
글 사진 청송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21-03-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