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봄의 징조를 찾아보세요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봄의 징조를 찾아보세요

입력 2021-03-17 20:26
수정 2021-03-18 02: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도시 화단에서 언제나 볼 수 있는 회양목은 초봄 그 어떤 식물보다 빨리 꽃을 피운다.
도시 화단에서 언제나 볼 수 있는 회양목은 초봄 그 어떤 식물보다 빨리 꽃을 피운다.
봄이 되어 남도에는 이미 매화와 산수유가 피었다. 봄꽃의 개화는 이제 점점 북쪽으로 퍼져 가고 있다. 어릴 적엔 피어날 봄꽃에 설레며 봄을 기다렸지만, 식물세밀화를 그리기 시작한 후 봄을 맞는 자세는 달라졌다. 계획적이고 철저히 식물을 관찰할 만반의 준비를 한다. 눈 깜짝할 사이에 수십 종의 봄꽃이 피어날 것이고, 나는 이 많은 꽃을 관찰하고 기록해야 하기 때문이다.

식물은 대개 잎을 틔운 후에 꽃을 피우지만 일부 꽃나무와 로제트 잎의 풀꽃 그리고 늘푸른나무들은 겨울 동안 동면을 취하던 여느 식물보다 빨리 꽃을 피운다. 나는 매년 이 부지런한 식물들의 움직임으로부터 봄의 징조를 느낀다.

봄이 오는 것을 느끼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몸에 닿는 공기의 따뜻한 온도나 햇빛과 하늘색으로부터, 요즘은 미세먼지가 많아지는 것으로 봄이 왔다는 걸 아는 사람도 있다.
이미지 확대
생강나무는 잎보다 꽃을 먼저 피워 봄을 알린다.
생강나무는 잎보다 꽃을 먼저 피워 봄을 알린다.
나는 식물을 보며 계절의 변화를 느낀다. 지난주에 작업실 근처 수목원에 미팅이 있어 다녀왔다. 북쪽에 있어서인지 아직 한겨울과 같은 황량한 풍경이었다. 이곳은 아직 겨울이구나, 하며 전시원을 지나다 문득 쪼그려 앉아 땅 위의 졸참나무 잎을 손으로 걷어내 보았는데 그 아래에서 연두색 작은 새싹이 돋아나고 있었다. 내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식물은 이미 봄을 맞을 준비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옆을 가만히 보니 지난달 털옷을 입었던 생강나무의 겨울눈은 털을 다 벗어내고 노란 꽃망울을 내밀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 정원을 무심코 지나쳤다면, 쪼그려 앉아 낙엽을 걷어내거나 생강나무에게 가까이 가지 않았다면 나는 이곳이 아직 한겨울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이럴 때 식물을 관찰하는 직업을 가져서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코로나19의 여파인지 지난겨울은 유난히 길고 지루했다. 얼른 계절이 바뀌어 봄이 되면 이 기분이 나아질까 싶었고, 지금으로선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주변 풍경만이 내게 기쁨일 것 같았다. 봄이 오는 징조를 하루빨리 찾아내는 것이 내겐 중요한 일이었다.

매일 똑같이 집과 작업실을 오가던 어느 날 주차장 옆 회양목에 노란 무엇이 있는 게 보였다. 자세를 낮춰 들여다보니 아직 봉오리 상태지만 꽃이 피고 있었다. 회양목에서 꽃이 피는 것만큼 확실한 봄의 징조는 없다. 드디어 봄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내 작업실 주차장의 회양목은 수형이 동그랗다. 도시 어디에서도 회양목은 동그랗거나 네모나게 전정 되어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들은 동선을 유도하거나, 화단과 인도를 구분 짓는 용도로 심겨 왔기 때문이다. 도시에서 회양목의 역할은 확실하다.

그러나 산에서 보는 회양목은 나보다 훨씬 키가 크고 자유로운 모습이다. 5m 이상으로 자라기도 한다. 도시에서만 회양목을 보아 왔던 사람들은 자생하는 회양목을 보면 전혀 자신이 알던 나무라 상상하지 못한다. 이들은 학교, 아파트 단지, 도로 옆 그 어떤 화단에서든 존재한다. 회양목만큼 도시에 흔한 나무가 있을까? 전정 되어 키가 워낙 작은 데다가 꽃에는 꽃잎이 없고 색도 노란색이라 사람들은 꽃이 피어도 잘 알아보지 못한다.

그런데 자세를 조금만 낮추고 고개를 숙이면 수많은 수술 곁에 곤충들이 날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회양목 꽃에서는 짙은 풀 향이 난다. 곤충은 이 향을 좋아해 이맘때부터 회양목 곁을 떠나질 않는다. 회양목은 지금 꽃을 막 피우기 시작했지만 시간이 지나 여름이 되면 녹색의 동그란 열매를 매달고, 가을이면 잎이 주황색 혹은 노란색으로 물든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든 볼 수 있는 평범한 이 식물은 도시 사람들이 계절의 변화를 느끼기에 가장 적절한 식물이다.

베트남에 살고 있는 친구는 매년 봄이면 한국의 봄 풍경이 그립다는 말을 한다. 더운 그곳에서 늘 아열대식물만 보다 보니 봄의 벚꽃이나 가을의 단풍이 그립다는 것이다. 그는 과거의 일을 회상할 때에도 그것이 정확히 언제 일인지 도무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도 했다. 생각해 보면 나 역시 과거를 떠올릴 때, 당시 내가 입었던 옷이나 계절의 풍경으로 기억을 꺼내기 시작하는 것 같다. 더구나 기후변화로 사계절의 존재가 당연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면 지금 이 계절이 더욱 소중해진다.

이 봄이 지나면 숲에선 동자꽃이 피어나 여름이 왔음을 알릴 것이고, 계수나무는 노란 단풍잎으로 가을을 알릴 것이다. 그리고 메타세쿼이아가 주황색 잎을 땅에 떨구면 곧 겨울이 올 것이고, 또다시 회양목에 꽃이 필 것이다. 반복되는 시간 동안 매번 식물이 내게 보내는 계절의 징조에 감탄하며 좋아하는 것. 이것이 내가 계절을 맞는 방법이다.
2021-03-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