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 TSMC.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1/08/SSI_20210108215705_O2.jpg)
로이터 연합뉴스
![대만의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 TSMC.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1/08/SSI_20210108215705.jpg)
대만의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 TSMC.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11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인 ‘TSMC’와 미국의 반도체 설계 업체(팹리스)인 ‘퀄컴’ 등은 제품의 단가를 15~20%가량 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통합전력관리칩(PMIC)이나 이미지센서(CIS) 등은 수급이 불안정해 20%가량씩 가격이 뛰었다. 차량용 반도체 업계에서 선두권을 달리는 네덜란드의 ‘NXP’와 일본의 ‘르네사스’, 스위스의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등도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을 비롯한 제품 가격을 10~20%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반도체 생산공장 전경.
중국의 ‘샤오미’는 스마트폰용 반도체 1위 업체인 퀄컴으로부터 부품을 받지 못해 생산에 차질을 빚은 일부 스마트폰 모델을 아예 단종시켜버렸다. 미국의 ‘애플’도 올해 상반기에 1억대 분량의 아이폰 부품을 확보하려 했으나 이를 25% 감축한 7500만대 수준까지 축소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부도 퀄컴으로부터 받아오는 물량이 원활하지는 않아서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제너럴모터스(GM), 테슬라, 도요타, 포드, 혼다 등이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 차질을 경험했다.
![한파에 지진에...반도체 공급 대란 가시화](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22/SSI_20210222152023_O2.jpg)
![한파에 지진에...반도체 공급 대란 가시화](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22/SSI_20210222152023.jpg)
한파에 지진에...반도체 공급 대란 가시화
한파와 폭설로 멈춰선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의 전경. H-E-P 마트에 물건을 사러 온 시민들의 긴 줄이 보인다. 오스틴 AP 연합뉴스
‘반도체 가뭄’의 조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나타났다. 자동차나 스마트폰용 반도체 업체들은 제품을 설계해 TSMC나 삼성전자 등 공장을 지닌 파운드리 업체에 생산을 맡기는데 이들이 과부하에 걸렸다. 요즘은 어떤 사업군이든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을 시도하고 있는 데다가 코로나19로 온라인 비즈니스가 성장하면서 이를 위한 반도체 주문이 폭증한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미국 텍사스에 위치한 삼성전자의 오스틴 반도체 공장이 전력 문제로 지난달 16일부터 현재까지 멈춰서 있으며, 르네사스 이바라키현 공장도 지난달 일본에서 발생한 7.3 규모 강진으로 가동을 멈췄다.
![애플이 독자 설계한 반도체 칩을 넣은 PC 제품을 내놓으면서 기존 인텔과 AMD가 장악하고 있는 PC 반도체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전망이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의 본사 애플파크에서 온라인으로 신제품 발표 행사를 열고 있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1/11/SSI_20201111160840_O2.jpg)
![애플이 독자 설계한 반도체 칩을 넣은 PC 제품을 내놓으면서 기존 인텔과 AMD가 장악하고 있는 PC 반도체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전망이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의 본사 애플파크에서 온라인으로 신제품 발표 행사를 열고 있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1/11/SSI_20201111160840.jpg)
애플이 독자 설계한 반도체 칩을 넣은 PC 제품을 내놓으면서 기존 인텔과 AMD가 장악하고 있는 PC 반도체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전망이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의 본사 애플파크에서 온라인으로 신제품 발표 행사를 열고 있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EPA 연합뉴스
이재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이미 가격 급등이 진행 중”이라면서 “반도체 업체들마다 설비투자에 공격적으로 나서 공급을 늘리려고 분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호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은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으니 완성품 업체마다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