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끊는다는 것/장세훈 논설위원

[길섶에서] 끊는다는 것/장세훈 논설위원

장세훈 기자
입력 2019-11-20 17:42
수정 2019-11-21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돌이켜 보면 ‘끊는’ 행위를 참 많이 하면서 살아왔다.

가장 흔한 예는 학창 시절 내 삶의 도약을 바라며 끊었던 학원이다. 단짝 친구들과 여행을 떠나기 위해 설레는 마음으로 기차표나 버스표를 끊었다. 세상을 넓게 보겠다며 해외연수와 배낭여행을 이유로 비행기표도 끊었다. 이렇듯 젊은 시절 끊는 행위는 주로 새로운 도전의 의미가 담겼던 것 같다.

요즈음 끊는 행위는 과거와의 단절을 뜻할 때가 훨씬 더 많다. 나쁜 습관, 잘못된 언행, 그릇된 관계와의 결별이다. 최근에는 담배를 끊었다. 일주일쯤 됐다. 5년여 동안 금연했다가 다시 흡연의 유혹에 빠진 지 5년여 만이다. 끊었다기보다는 참는 중이다.

‘끊다’라는 단어가 사전적 의미와 달리 확장적으로 쓰여도 이를 문제 삼는 사람은 없다. 단어 그 자체가 아닌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외식이 귀했던 어린 시절 특별한 밥상에나 오르던 고기 몇 근도 끊는 대상이었다.

끊는 행위는 대부분 변화에 대한 욕구를 바탕에 깔고 있다. 끊음으로써 달라지길 기대하는 무언가가 있다. 다만 어릴 적엔 ‘겁 없이’ 끊었고, 지금은 ‘겁이 많아져’ 끊는 차이가 있는 듯싶다. 그래서 입가에 피식 웃음이 샌다.

shjang@seoul.co.kr

2019-11-21 2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