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수백만 년 전 나무 위에서 내려와 두 발로 걷기 시작하고 자유로워진 두 손으로 주먹도끼를 만들고 불을 피우기 시작한 인류는 진화의 여정 그 어느 한 시점에서부터 무엇 때문인지 나의 존재를 생각하게 됐다. 수만 년 전 빙하기의 혹독한 추위를 피해 동굴 속으로 들어간 인류는 동굴벽화를, 그리고 나를 닮은 너를 닮은 비너스상을 새기면서 나는 어디에서 왔을까? 또 어디로 가는 것일까 하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을 어렴풋이 시작하게 됐을 것이다.
출생의 비밀에 대한 진지한 질문과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은 지금도 이어져서 인류 진화의 퍼즐을 완성하기 위해 마치 모래밭에서 바늘 찾듯 한 조각 화석이라도 더 찾기 위한 험난한 발굴 작업은 물론이고, 저 멀리 우주먼지로부터 생명의 기원을 찾기 위한 우주 탐사까지 출생의 비밀을 찾기 위한 인류의 노력은 마치 친어머니를 찾아 방황하는 드라마의 주인공같이 눈물겨울 정도다. 성경의 창세기도 출생의 비밀을 밝히는 것에서부터 시작하고 있지 않은가.
나는 어디에서 왔을까 하는 질문은 자연스럽게 어디로 갈 것인가로 이어진다. 약 10만년 전 죽은 사람을 부장품과 함께 잘 묻어 주는 행위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사후세계에 대한 자각이 이미 구석기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보여 주는 고고학적 증거다.
수백 가지가 넘는다는 문화의 정의 중에서 한국의 인류학자 조흥윤 선생의 정의는 백미다.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맛과 멋. 조 선생은 문화를 이렇게 맛과 멋으로 정의했다.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출발점은 우리는 어디에서부터 왔을까, 바로 출생의 비밀을 찾아가는 것일 것이다.
아주 옛날에는 사람이 살지 않았는데 ~~ 이렇게 시작하는 노랫말이 있다. “사는 게 아니라 노닐며 즐기는 것 ~ 옛날에 누가 살았는지 생각하지도 않고.” 기가 막힌 대목이다. 옛날에 누가 살았는지를 생각하는 사람은 앞으로 이 땅에 누가 살게 될지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지속 가능한 사회, 그 출발점은 출생의 비밀에 대한 자각인 것이다.
인류의 출생에 대한 기록이 보관돼 있는 곳은 박물관이다. 불리하면 계단에서 굴러떨어지는 것도 마다치 않는 막장 드라마 속 악녀들의 스턴트 연기에 흥분하는 것도 좋지만 그래도 가끔은 박물관을 찾아가 빙하기의 매서운 겨울바람을 견뎌 냈던 구석기 사람들을 떠올려 보는 것이 조금 더 사람답게 사는 삶, 맛과 멋이 있는 문화적인 삶이 아닐까? 우리가 박물관을 가야 하는 이유일 것이다. 올겨울 최고의 한파라는 이번 주말 드라마만 보면서 웅크려 있지 말고 출생의 비밀을 찾아 가까운 박물관으로 떠나 보는 건 어떠신지.
2018-01-2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