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766) 마지막회-제6부 理氣互發說 제4장 儒林(23)

儒林(766) 마지막회-제6부 理氣互發說 제4장 儒林(23)

입력 2006-12-29 00:00
수정 2006-12-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6부 理氣互發說

제4장 儒林(23)


이미지 확대
가자.

나는 소리를 내어 중얼거렸다.

다시 이제 가자.

오마니, 아버지, 누이야. 우리 이제 오마니 등에 업고 앵두 따다 실에 꿰어 목에다 걸고 검둥개 앞세워 달마중 가자. 공자가 제시하였던 그 효(孝)와 충(忠), 그 예(禮)와 경(敬)으로 가득 찼던 숲으로 가자. 유림의 숲으로 가자.

나는 뒷걸음질쳐서 공자의 무덤 앞을 물러나왔다. 더 이상 그 자리에 머물러 있을 필요가 없었으므로 나는 빠르게 걸어 무덤 옆길로 빠져나왔다.

그곳에는 숲이 우거져 있었다.

공림이라는 이름이 가리키듯이 이곳은 공자를 비롯한 공씨의 후예들이 묻혀 있는 공동묘지.

실제로 쏟아지는 흰 눈으로 뒤덮인 공림 곳곳에는 봉분의 모습이 보였다. 이곳에는 100여 종에 달하는 많은 고목들이 자라는 것으로 유명한데, 이는 각 지방의 공자 제자들이 자기 지방에서 자라나는 나무들을 옮겨 심은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공림에는 공자의 후손 50여기의 무덤이 산재해 있는데, 대부분 남자들의 무덤들뿐이다. 한 가지 예외는 72대 연성공 공헌배(孔憲培)의 부인이며, 건륭황제의 딸인 우씨(于氏)의 묘. 이는 황제의 딸이라는 사실을 감안해서 특별 예우하였던 것처럼 보인다.

눈은 더욱 더 강하게 내려 프로스트의 시처럼 들려오는 소리나는 바람과 날리는 눈뿐. 온 숲 속은 어둡고 깊고 그리고 아름다웠다.

“그러나 나는 지켜야 할 약속이 있어 잠들기 전에 가야 할 먼 길이 있다.”

프로스트의 시처럼 나는 지켜야 할 약속이 있었으므로 잠들기 전에 가야 할 먼 길을 향해 걷기 시작하였다.

순간 내 머릿속으로 한가지의 상념이 떠올랐다. 이 공림에 묻힌 사람들의 무덤이 어찌 공씨가문의 무덤들뿐이겠는가, 하는 생각이었다. 이 공림에 묻힌 사람들이 모두 공자의 후손들의 무덤이라면 나를 낳은 아버지, 그 아버지의 아버지, 그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들이 묻힌 이 동방의 대지야말로 유림(儒林)의 숲이 아닐 것인가. 내가 만난 퇴계와 율곡, 그리고 조광조도 이 유림 속에 묻힌 선인들. 그렇게 보면 공자는 우리의 정신을 낳은 아버지인 것이다.

공림을 빠져나오는 내 귓가에 동양 최고의 사가인 사마천의 사자후가 폭풍이 되어 들려왔다.

“나 태사공은 이렇게 생각한다.

시경(詩經)에 보면 ‘고산을 우러러보면서 대도(大道)로 나아간다.’고 되어 있다. 도달할 수는 없더라도 어쩔 수 없이 그쪽으로 향한다는 뜻이다. 나는 공자의 저서들을 읽으며 그 인품을 생각해 보았다.…중략…나는 주위를 거닐면서 차마 그곳에서 발길이 떨어지지 않는 사실을 감지했다. 천하의 어떤 군주나 현인들도 살아서는 영화를 누렸겠지만 죽어서는 그것으로 끝났었다.

그러나 공자는 포의의 신분이었으면서도 덕은 10여대를 걸쳐 전하고 학자들도 공자를 종주(宗主)로 우러러 보고 있는 것이다. 천자와 왕후들을 비롯해 중국전역에서 육예를 논할 때에는 모두 공자를 표준으로 취사선택하니, 과연 공자를 지성(至聖)이라 부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나는 사마천의 표현처럼 ‘고산을 우러러보면서 대도로 나아가기 위해서’ 공림을 빠르게 걸어 나갔다.
2006-12-2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