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검은바다… 그의 캔버스에 제주의 모습은 왜 늘 쓸쓸할까

폭풍·검은바다… 그의 캔버스에 제주의 모습은 왜 늘 쓸쓸할까

입력 2010-08-06 00:00
수정 2010-08-06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폭풍의 화가’ 변시지 개인전

거세게 휘몰아치는 폭풍은 당장이라도 하늘과 땅을 집어삼킬 기세다. 그 속에서 세상에 혼자 남겨진 듯 두 팔에 고개를 파묻고 앉아 있는 한 남자, 그리고 조랑말. 파도 저편엔 작은 배 한척이 격랑에 위태롭게 온몸을 내맡기고 있다. 격렬한 광기와 끝없는 적막함의 공존. 변시지 화백의 ‘거친 바다, 젖은 하늘’(1996)은 그래서 한없이 슬프고, 외롭다.

이미지 확대
거친바다, 젖은 하늘(1996)
거친바다, 젖은 하늘(1996)
●5년만에 서울나들이… 롯데갤러리서

‘제주의 혼’, ‘폭풍의 화가’ 등으로 알려진 원로 화가 변시지(84) 화백이 5년 만에 서울에서 개인전을 열고 있다. 5일 서울 남대문로 롯데갤러리에서 개막한 ‘검은 바다’전은 ‘거친 바다, 젖은 하늘’과 같은 폭풍 시리즈를 중심으로 작가의 대표작 35점을 감상할 수 있는 자리다.

작가는 제주 바다의 거센 풍랑 못지 않은 굴곡의 세월을 겪었다. 1926년 제주 서귀포에서 태어난 그는 여섯 살 때 가족과 함께 일본으로 떠났다. 스물세 살에 일본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광풍회’전에서 최연소 수상하는 등 화가로서 승승장구하다 1957년 서울대 초청으로 귀국길에 올랐다.

그러나 척박한 환경과 권위적인 화단 풍토는 그에게 좌절감을 안겼다. 1975년 우연한 기회에 제주로 내려간 그는 고향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후 그 곳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자화상(1994)
자화상(1994)
작품은 해외에서 먼저 주목받았다. 1997년 인터넷사이트 야후에서 ‘세계 100대 화가’로 선정된 뒤 국내에서도 차츰 인정받기 시작했다. 2007년 6월부터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에 ‘이대로 가는 길’과 ‘난무’ 2개의 작품이 상설 전시되고 있다.

●“예술의 모체는 풍토… 제주는 외로운 섬”

작가는 왜 아름다운 제주의 풍광 대신 거센 폭풍과 검은 바다의 쓸쓸함과 외로움의 정서에 천착하는 것일까. 전시회 개막에 앞서 지난 4일 만난 작가는 “예술의 모체는 풍토다. 피카소는 프랑스에서 활동했지만 스페인 사람이기 때문에 작품마다 정열이 나오는 것”이라면서 “제주는 외로운 섬이어서 쓸쓸하고 외로운 그림이 나오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마다 사투리가 있듯 지역 풍토에 맞는 그림이 나와야 할 텐데 요새는 지방 작가들도 서울 작가와 작품이 같고 독창적인 작품이 안 나오는 것 같다.”고 아쉬워했다.

전시에서는 1949년 일본 활동 당시 작가의 동생을 그린 ‘시관의 상’, 1957~75년 이른바 ‘비원 시절’에 그렸던 창덕궁의 비원 풍경 그림과 자화상 등도 볼 수 있다. 매일 비원으로 출퇴근하면서 그렸던 비원 시절의 그림은 잎사귀 하나, 기와장까지 세고 그린다고 할 만큼 섬세하고 치밀한 극사실주의 기법을 사용했다. 1975년작 ‘제주’는 변 화백의 독창적인 화풍이 나오기 이전 초기 제주화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그는 요즘도 붓을 놓지 않고 있다. 하지만 예전처럼 대작은 엄두를 못 낸다고 한다. 그는 “집중력이 많이 떨어졌다. 어제까지 그리던 것도 그냥 쳐다보기만 하고 그릴 생각이 안 난다. 그래서 집중력이 생길 때마다 그림을 그린다.”면서 “20호 이내 소품만 그리고, 그 이상 큰 그림은 이제 못한다.”고 말했다.

●내년 서귀포에 개인 미술관 건립

제주가 낳은 세계적인 화가를 기리기 위해 서귀포시는 2011년 완공을 목표로 변시지미술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작가는 미술관이 건립되면 자신의 작품 500여점을 모두 미술관에 기증할 계획이다. 전시는 31일까지.(02)726-4428.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08-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