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확산의 배경 ‘고종의 국장’을 되새기다… 특별전 ‘100년 전, 고종 황제의 국장’

3.1운동 확산의 배경 ‘고종의 국장’을 되새기다… 특별전 ‘100년 전, 고종 황제의 국장’

입력 2019-02-28 10:48
수정 2019-02-28 1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3월 1일~31일 국립고궁박물관 1층 전시실 개최

이미지 확대
고종의 국장 사진첩에 수록된 고종의 생전 모습.
고종의 국장 사진첩에 수록된 고종의 생전 모습. 문화재청 제공


고종(1852~1919)은 1919년 1월 21일 새벽 덕수궁 함녕전에서 세상을 떠났다. 사인은 뇌일혈로 알려졌지만 항간에는 일본인 혹은 친일파에게 독살당했다는 소문이 빠르게 퍼져나갔다. 또 고종의 국장(國葬)은 조선총독부가 임시로 설치한 장의괘(葬儀掛)가 주도하면서 3년여에 걸쳐 장중하게 진행되는 조선왕실의 국장에 비해 축소되고 변형됐다. 나라를 잃고 일제의 식민 통치에 억눌려 있던 민중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당시 국내외에서 큰 관심을 불러모았던 고종의 국장은 이후 항일독립운동에서 중요한 항쟁으로 꼽히는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올해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3·1운동 전국 확산에 영향을 미친 고종의 국장을 다시 살펴보는 전시가 열린다. 3월 1일부터 31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1층 전시실에서 열리는 소규모 기획전 ‘100년 전, 고종 황제의 국장’이다.

‘고종의 승하’, ‘고종의 국장’, ‘고종의 영면’ 등 3개 주제로 구성된 이번 전시에서는 고종 황제의 초상, 고종의 국장 절차를 기록한 의궤, 고종 국장 사진첩, 고종 황제 국장을 보도한 이탈리아 주간지, 고종의 능을 조성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등 총 15건의 작품이 소개된다.

국장 절차를 기록한 ‘이태왕전하어장주감의궤’(李太王殿下御葬主監儀軌), 고종 국장 때 대여(大輿·국상 때 쓰던 큰 상여)와 의장 행렬을 담당한 민간 단체가 남긴 ‘덕수궁인산봉도회등록’(德壽宮因山奉悼會謄錄) 등에는 고종의 장례가 일본식으로 진행되면서 격하된 사실이 드러나 있다.
이미지 확대
고종 국장 사진첩에 실린 국장 당시의 모습.
고종 국장 사진첩에 실린 국장 당시의 모습. 문화재청 제공
또 고종의 국장을 촬영한 경성일보사에서 발간한 사진첩에는 고종의 생전 모습을 비롯해 승하 발표 기사, 함녕전에 마련된 빈전(殯殿·국상 때 상여가 나갈 때까지 왕의 관을 모시던 전각), 고종이 잠든 홍릉 등이 담겼다. 고종 승하 당시 제작된 어보와 옥책을 통해 당시 왕실 의례의 면모도 확인할 수 있다.

1899년부터 1989년까지 간행된 이탈리아 주간지 ‘라 도메니카 델 코리에레’(La Domenica del Corriere) 1919년 6월 8일 발행본 1면에는 고종 국장 행렬을 묘사한 삽화가 인쇄되어 있는데, 조선인의 모습을 이국적으로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새달 21일에는 ‘고종 국장과 1919년의 사회’라는 주제의 특별 강연회도 열린다. 이욱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고종 국장 과정을 분석해 대한제국 황실 의례가 국권 침탈 이후 어떻게 바뀌었는지 설명하고, 윤소영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은 고종 국장 이후 억눌린 민중의 한이 3·1운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 과정을 살펴본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