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그때 말했던 거 있잖아/류휘석 지음/문학동네/196쪽/1만 2000원
201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등단
59편 詩로 ‘우울한 판타지’ 펼쳐
곳곳서 느끼는 죽음에 대한 예감
‘다시’ 표현, 작은 변화 위한 투쟁
201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해 첫 시집을 펴낸 류휘석 시인은 “잠시라도 누군가의 빈틈에 들어가 같이 넘어지고, 다시 일어서는 일. 까진 무릎을 서로 가려 주는 일. 제가 하고 싶은 건 그런 것”이라고 말했다.
문학동네 제공
문학동네 제공
201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류휘석(29) 시인의 첫 시집 ‘우리 그때 말했던 거 있잖아’는 이렇듯 늘 당연하다는 듯 돌아오는 실패와 마주하는 또래 세대들의 현실 인식을 ‘우울한 판타지’로 누구보다 실감 나게 펼쳐 보인다. 59편의 시에서 화자로 등장하는 청년들은 죽음에 대한 예감을 곳곳에서 느끼고, 어느 순간에는 죽음을 일상처럼 무디게 수용한다.
‘아무런 마음도 없는 곳에 아무렇게나 흩어진 우리는/죽음으로 시작되는 가능성을 나열하며 시간이 빨리 지나가 버리길 바라고 있었다’(유기)
‘열심히 이를 간 이번 생에도/질기고 텁텁한 밤은 노크도 없이 머리맡에 도착해 있다//지독한 압생트를 위 끝까지 밀어 넣고 죽는 꿈//베개 밑에 깔려 죽은 다정한 화자들이/제각각 높낮이가 다른 목소리로//살아 있는 목을 노린다’(다정한 화자들)
‘내겐 매일 허들을 넘다 실패하는 광대들이 살아요//(중략) 천장에 붙어 기웃거리는 가녀리고 얇은 나의 광대들/반성이 시작된 집은 무덤 냄새가 나는 요람 같아요//(중략) 도무지 채워지질 않는 상자 좀처럼 변하지 않는 실패와 실종//내가 죽으면 광대들은 허들을 넘을까요/궁금해서 죽지도 못합니다’(랜덤박스)
하지만 시인은 좌절에 웅크리는 대신 ‘자꾸만 어디론가 살아 있고 싶다’(새 인형 공장)는 의지를 놓지 않는다. 그것은 무지개가 뜰까 하는 희망에 조화에도 물을 주는 것처럼, 일상의 아주 작은 것부터 회복시키려는 연습으로 발현된다.
‘조화에도 무지개가 뜰까요 물을 열심히 주면요/가습기도 빼먹지 않고 물도 자주 마셔서 언젠간 창틀에 쌓인 검은 모래를 내 손으로 쓸어내고 싶어요 창문에 걸린 해변을 섬이 보일 때까지 밀어내고 그를 기다리는 일 내내 시들지 않고 아름답길 바라는 일 내가 할 수 있는 건 이런 것뿐이에요 가만히 놓여 죽어버리지 않는 일’(조화에도 물을 주시나요)
성현아 문학평론가는 이런 시인의 시선과 태도를 작가의 책무와 연결 짓는다. “(작가란) 모두가 이제는 손쓸 수 없다고 말하는 망가져 버린 세계 속에서도 무엇이든 바꿔보려 애쓰며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마지막까지 남아 외치는 자다. 류휘석이 시집 전반에 반복적으로 새겨 넣는 두 글자 ‘다시’는 실천적인 의지를 내포한다. 이때의 다시는 작은 변화라도 생성해 보려는 투쟁이 된다.”
2023-12-29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