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귀신이 되다/전혜진 지음/현암사/344쪽/1만 6500원
‘여성, 귀신이 되다’는 나라 안에 전해 오는 수많은 여자 귀신 이야기의 이면을 들추고, 페미니즘과 연결시켜 살피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아랑의 아버지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딸의 시신을 찾고 범인을 잡아야 할 의무가 있었지만, 그는 딸이 사라지자 딸을 잘못 가르쳤다고 자책하며 고을을 떠난다. ‘장화홍련전’의 아버지 배무룡도, ‘콩쥐팥쥐전’의 최만춘도 이름 석 자만 내비칠 뿐 서사 내내 아무 역할도 하지 않는다. 저자는 묻는다. 수많은 여자 귀신 이야기에 등장하는 아버지들은, 남편들은 대체 뭘 했냐고. 대상이 사람이었을 뿐 저자가 실질적으로 묻는 건 당대의 양심은, 정의는 어디 있었냐는 것일 테다.
책엔 모두 78편의 옛이야기를 실었다. 그 속에 담긴 여자 귀신의 삶은 곧 현실 여성의 삶이었다. 엄격한 유교 질서 아래 자결하고, 쫓겨나고, 살해당한 여성들은 생전엔 원한을 해소할 방법을 찾을 수 없었다. 사회가 여성들을 죽음으로 몰아갔고, 이들은 죽어서야 자신의 목소리를 냈다. 아랑의 전설에서 보듯 귀신 서사의 대부분은 여자는 한을 품고, 남자는 풀어 준다는 얼개다. 이야기를 채록하고, 책으로 쓰고, 향유한 이들이 남성 사대부들이었으니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저자는 “우리가 남성과 사대부라는 렌즈를 거친 이야기들만 알고 있는 셈”이라며 “여성의 억울한 죽음이 남성 사대부들의 유능함을 드러내는 데 소비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1-05-1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