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터리어스 RBG
아이린 카먼, 셔나 크니즈닉 지음
정태영 옮김/글항아리/272쪽/2만 3000원
긴즈버그가 악명 높은 대법관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악명 높은 시대를 살아냈기 때문이다. 유대계인 그는 제2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반유대주의를 온몸으로 체험했고, 대학 시절에는 매카시즘의 매서운 바람을 지켜봤다. 시절이 그랬으니 삶도 온통 차별로 점철될 수밖에.
긴즈버그는 여성의 권익 신장을 위해 꾸준히 목소리를 냈다. 대학에 몸담고 있을 때는 ‘여성과 법’을 주제로 한 강의를 꾸준히 개설했다. 임신을 이유로 학교를 떠나야 했던 교사와 군인, 실력은 최고인데 여자라는 이유로 학교 대표가 되지 못했던 테니스 선수 등을 도왔다. 1993년 클린턴 정부 때 연방대법원 대법관에 임명된 긴즈버그는 젠더 문제와 여성과 남성의 해방 등을 한결같이 주장했다.
긴즈버그는 ‘모든 사람이 이루고자 하는 꿈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이든 이룰 수 있는 사회’가 정상이라 생각했다. 어리다는 이유로, 여자라는 이유로, 흑인이라는 이유로 그것을 이룰 수 없고, 더더욱 접근조차 할 수 없는 현실에 그는 늘 “나는 반대한다”라는 견해를 밝혔다. 그럼에도 긴즈버그는 어느 한편에 서는 것을 극구 저어했다.
저널리스트와 법조인인 저자들은 이런 긴즈버그가 급진적이면서 점진적인, 진보적이면서 보수적인, 엄격하면서도 유머러스한 사람이라고 표현한다. 긴즈버그는 자신을 “결과에 대해 스스로 높은 잣대를 들이대는 사람”이며 “선한 마음으로 경청하는 사람”이라고 표현했다.
저자들에 따르면 긴즈버그는 한 번에 한 걸음을 목표로 삼은 사람이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 평등한 세상으로 가려면 그래야만 한다는 것이다. 우리 방식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마저 소외시키지 않기 위해서라도 그 길을 가야 한다고 긴즈버그는 믿었다. 격전과도 같았던 긴즈버그의 삶을 재현한 평전이지만 ‘노터리어스 RBG’가 그리 딱딱하지는 않다. 오바마 전 대통령과의 만찬을 물리치면서까지 쉬지 않았던 스쿼트-플랭크-팔굽혀펴기 비결은 물론 남편 마티 긴즈버그의 요리 방법, 긴즈버그가 좋아했던 오페라와 힙합 음악을 곳곳에 배치하면서 읽는 재미까지 더했다. 급히 마무리하며, 긴즈버그 대법관의 명복을 빈다.
2020-09-25 2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