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VS 80의 사회/리처드 리브스 지음/김승진 옮김/민음사/272쪽/1만 7000원
중상류층은 고학력에 고소득의 전문직종 종사자들이다. 미국의 경우 싱크 탱크 연구자, TV 프로듀서, 교수, 논객, 기자 등이 이 부류에 속한다. 중상류층은 표면적으로는 불평등을 맹렬히 비판한다. 1%와 99%의 대결 구도를 만든 이들도 중상류층 지식인들이었다. 그러나 ‘언행일치’의 잣대를 들이대면 이들의 태도는 이중적이고 위선적이다. 이들은 슈퍼 리치 못지 않은 집합적 권력을 활용해 교육, 노동시장 등 삶과 밀접한 여러 사회제도를 바꾸고, 자녀들에게 좋은 학벌과 고소득 일자리를 물려주기 위해 온갖 수단을 동원한다. 이렇게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 깔아준 ‘유리 바닥’은 결국 그 아래 있는 아이들에게 ‘유리 천장’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소득 분배의 사다리를 보면 더 알기 쉽다. 미국 상위 20%의 소득은 1979~2013년 사이 4조 달러(약 5000조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하위 80%의 소득은 3조 달러(약 3700조원)에 그쳤다. 상위 20% 내부의 불평등도 심화됐다. 4조 달러 중 무려 3분의1을 상위 1%가 가져갔다. 그렇다고는 해도 19%의 증가분 역시 무려 2.7조 달러에 달한다. 최상위에 들지 못한다고 80% 쪽 사람들과 비슷한 형편은 결코 아닌 것이다.
저자는 변화를 위한 7가지 제안 등을 내놓고 있는데, 핵심적인 주장은 책 끝자락, ‘20%의 사람들에게 고함’ 편에 들어 있다. 저 유명한 미국 사회학자 C 라이트 밀스의 책 ‘들어라, 양키들아’에 비유하면 “들어라, 20%들아”쯤 되려나. 저자의 일갈을 요약하면 이렇다. “진보 시대(미국에서 사회 개혁 운동이 활발했던 19세기 말~20세 초)에 불을 지핀 것은 ‘자기 비판’이었다. 지금 그와 같은 (자기) 성찰의 시기가 다시 필요하다. 미국의 꿈을 사재기할 것이 아니라 함께 나누기 위해.”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9-08-30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