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서점은 단순히 책만을 판매하는 공간이 아니다. 직접 책을 읽고 공연도 감상하는 문화쉼터로 그 영역이 확장하고 있다. 서점 업계는 소비자와의 접점을 늘리기 위한 마케팅으로 분주하다. 책 구매에 앞서 직접 읽고 판단할 수 있도록 쾌적한 독서공간을 마련하고, 책과 연관된 다양한 전시·공연도 한다. 식음료·문구·팬시용품 등의 판매뿐만 아니라 자체 상품도 선보이고 있다. 끊임없이 변신을 시도하는 대표적인 국내 대형서점을 세 곳을 찾았다.
●교보문고, ‘책향’으로 숲속 공간 연출
교보문고는 최근 신규 오픈하거나 리뉴얼하는 매장을 대상으로 오프라인서점 모형의 변화를 줬다. 전체적으로 통로를 넓히고 전면 진열을 크게 늘려 보다 쉽게 책을 만날 수 있게 했다. 조명의 조도를 개선해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했으며, 포인트 조명으로 책에 대한 집중도를 높였다. 또 곳곳에 화초를 놓아 자연 친화적인 쾌적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광화문점의 경우 5만년 된 카우리 테이블 2개 외에 매장 곳곳에 소파형, 벤치형, 테이블형 등으로 총 20곳의 공간에 300여명이 앉을 수 있는 의자를 놓아 보다 편리하게 독서와 휴식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매장을 찾는 사람들에게 독서의 즐거움과 매장에서의 경험을 오래 기억하도록 향기를 이용하자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해 일부 교보문고 매장에서 시범적으로 향기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고객들의 반응을 토대로 수십 차례 향의 배합비율과 강약을 조절해 최적의 향기를 만들어냈다. 향기에 대한 구입 관련 문의가 이어져 정식 상품화까지 추진해 ‘책향’(The Scent of Page·원 안 사진)이란 상품으로 시중에 선보였다.
책향은 시트러스, 피톤치드, 허브, 천연 소나무 오일 등을 조합해 만들었다. 첫 향은 버가못과 레몬이, 중간 향은 유칼립투스 피톤치드 로즈메리가, 끝 향은 삼나무와 소나무 향기가 느껴진다. 방문객들은 교보문고 매장에 왔을 때 울창한 나무숲을 거니는 듯한 향을 느낄 수 있다.
●영풍문고, ‘유럽 도서관 테마’ 등 색다르게 꾸며
영풍문고는 올해로 창립 26주년을 맞았다. 1992년 7월 종각 종로본점에 문을 연 후 현재까지 41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영풍문고는 도서는 물론 책과 함께 식·음료를 즐길 수 있는 북 카페, 버스킹 문화 공연, 가족 고객을 위한 키즈월드, 팬시용품을 구매할 수 있는 문구 코너까지 읽고 즐기고 느끼며 공유하는 종합 문화 쉼터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매장을 ‘유럽 도서관 테마’, ‘자연 친화적인 키즈존’ 등 특색있게 꾸며 색다른 공간을 연출했다. 또한 인터파크, 예스24 등과 제휴를 하고 타사 온라인 몰 구매 제품을 영풍문고 매장에서 픽업하는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올 상반기에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로 지점을 넓혔다. 지난 1월 부산 정관점을 시작으로 가산 마리오점, 용산 아이파크몰점 등 총 7개의 지점을 신규 오픈했다. 특히 대형 쇼핑몰 입점에 주력해 ‘대형 쇼핑몰엔 책방’이란 새로운 공식을 만들어내고 있다.
영풍문고 관계자는 “향후 대형 인터넷 서점과의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를 확대하고 서점 간 연합을 통해 고객 혜택을 강화할 방침”이라며 “대리점도 늘려 서점을 더욱 편리하게 만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구축해 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예스24, 24개 분야별 중고도서 20만권 갖춰
예스24가 여섯 번째로 문을 연 중고서점 ‘예스24 F1963점’은 부산의 복합 문화공간 F1963 내에 약 500평 규모로 들어서 있다.
이곳에선 활자인쇄 프로세스부터 최신 기술의 전자책까지 책과 출판에 관련된 정보를 과거부터 현재, 미래에 걸쳐 모두 살펴볼 수 있다. 특히 F1963 공간 본연의 매력을 최대한 살리면서 미술품을 관람하듯 여유롭게 책을 감상할 수 있도록 내부 구조를 설계했다.
중고서점이 들어선 부산 F1963은 고려제강이 1963년부터 와이어 생산 공장으로 가동하다가 2008년 이후 제품 창고로 사용하던 시설이다. 지난 2014년 일부 공간이 부산비엔날레 특별 전시장으로 사용된 것을 계기로 2016년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후 현재 미술품 전시, 공연 등 다양한 문화예술을 담은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예스24는 F1963점을 중고도서를 사고팔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과 연관된 공연·전시 등 다양한 문화예술 영역을 아우르는 공간으로 꾸몄다. 특히 문학, 인문, 역사, 경제 등 24개 분야별 중고도서 약 20만권을 갖추고 중고 절판 도서, 외국 빈티지북 등 희귀본은 물론 음반, DVD·Blu-ray, 도서 관련 굿즈 등 분야를 넘나드는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어린이들의 독서를 위한 키즈존을 만들고 아이가 책을 읽고 고를 수 있도록 ‘유·아동 전집 상담 서비스’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
김태곤 객원기자 kim@seoul.co.kr
교보문고 ‘광화문점’.
교보문고 제공
교보문고 제공
교보문고는 최근 신규 오픈하거나 리뉴얼하는 매장을 대상으로 오프라인서점 모형의 변화를 줬다. 전체적으로 통로를 넓히고 전면 진열을 크게 늘려 보다 쉽게 책을 만날 수 있게 했다. 조명의 조도를 개선해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했으며, 포인트 조명으로 책에 대한 집중도를 높였다. 또 곳곳에 화초를 놓아 자연 친화적인 쾌적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광화문점의 경우 5만년 된 카우리 테이블 2개 외에 매장 곳곳에 소파형, 벤치형, 테이블형 등으로 총 20곳의 공간에 300여명이 앉을 수 있는 의자를 놓아 보다 편리하게 독서와 휴식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 4월 27일 문을 연 영풍문고 ‘군산 롯데아울렛점’.
영풍문고 제공
영풍문고 제공
●영풍문고, ‘유럽 도서관 테마’ 등 색다르게 꾸며
영풍문고는 올해로 창립 26주년을 맞았다. 1992년 7월 종각 종로본점에 문을 연 후 현재까지 41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영풍문고는 도서는 물론 책과 함께 식·음료를 즐길 수 있는 북 카페, 버스킹 문화 공연, 가족 고객을 위한 키즈월드, 팬시용품을 구매할 수 있는 문구 코너까지 읽고 즐기고 느끼며 공유하는 종합 문화 쉼터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매장을 ‘유럽 도서관 테마’, ‘자연 친화적인 키즈존’ 등 특색있게 꾸며 색다른 공간을 연출했다. 또한 인터파크, 예스24 등과 제휴를 하고 타사 온라인 몰 구매 제품을 영풍문고 매장에서 픽업하는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올 상반기에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로 지점을 넓혔다. 지난 1월 부산 정관점을 시작으로 가산 마리오점, 용산 아이파크몰점 등 총 7개의 지점을 신규 오픈했다. 특히 대형 쇼핑몰 입점에 주력해 ‘대형 쇼핑몰엔 책방’이란 새로운 공식을 만들어내고 있다.
영풍문고 관계자는 “향후 대형 인터넷 서점과의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를 확대하고 서점 간 연합을 통해 고객 혜택을 강화할 방침”이라며 “대리점도 늘려 서점을 더욱 편리하게 만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구축해 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부산의 복합 문화공간 F1963 내에 500여평 규모로 들어선 예스24 ‘F1963점’.
예스24 제공
예스24 제공
예스24가 여섯 번째로 문을 연 중고서점 ‘예스24 F1963점’은 부산의 복합 문화공간 F1963 내에 약 500평 규모로 들어서 있다.
이곳에선 활자인쇄 프로세스부터 최신 기술의 전자책까지 책과 출판에 관련된 정보를 과거부터 현재, 미래에 걸쳐 모두 살펴볼 수 있다. 특히 F1963 공간 본연의 매력을 최대한 살리면서 미술품을 관람하듯 여유롭게 책을 감상할 수 있도록 내부 구조를 설계했다.
중고서점이 들어선 부산 F1963은 고려제강이 1963년부터 와이어 생산 공장으로 가동하다가 2008년 이후 제품 창고로 사용하던 시설이다. 지난 2014년 일부 공간이 부산비엔날레 특별 전시장으로 사용된 것을 계기로 2016년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후 현재 미술품 전시, 공연 등 다양한 문화예술을 담은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예스24는 F1963점을 중고도서를 사고팔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과 연관된 공연·전시 등 다양한 문화예술 영역을 아우르는 공간으로 꾸몄다. 특히 문학, 인문, 역사, 경제 등 24개 분야별 중고도서 약 20만권을 갖추고 중고 절판 도서, 외국 빈티지북 등 희귀본은 물론 음반, DVD·Blu-ray, 도서 관련 굿즈 등 분야를 넘나드는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어린이들의 독서를 위한 키즈존을 만들고 아이가 책을 읽고 고를 수 있도록 ‘유·아동 전집 상담 서비스’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
김태곤 객원기자 kim@seoul.co.kr
2018-07-31 3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