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너를 용서하기로 했다/마리나 칸타쿠지노 지음/김희정 옮김/부키/308쪽/1만 3800원
아들을 죽인 소년을, 자신을 성폭행한 남자를, 아버지의 목숨을 앗아 간 자살 폭탄 테러범을 용서할 수 있을까. 만약 그런 이가 있다면, 그는 왜 평생 지울 수 없는 상처와 고통을 받고도 용서를 결심했을까. 새 책 ‘나는 너를 용서하기로 했다’에 이 물음에 대한 답이 있다.
책엔 세계적인 자선단체 ‘용서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용서 경험을 공유한 46명의 이야기가 담겼다. 학대, 폭력, 테러, 학살, 전쟁 등으로 신체적, 정신적 외상을 입었지만 복수 대신 용서와 씨름해 온 사람들의 이야기다.
책을 관통하는 정서는 스스로 가장 빨리 치유할 수 있는 길은 용서와 맞닿아 있다는 것이다. “용서란 그 행동을 용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 내재한 불완전성을 용서하는 것이다.” 술주정뱅이 아버지의 손에 어머니를 잃은 미국 여성 서맨사 롤러가 한 말이다. 스코틀랜드의 흑인 여성 막달리나 마콜라는 자신을 납치한 남성에게 “나는 그에게 기회를 주고 싶다”고 했다. 이처럼 용서의 형태와 그 행동에 스민 정서는 조금씩 다르다. 보스니아의 케말 퍼바닉처럼 “모든 인간은 다른 인간을 죽일 수 있는 가능성을 잠재적으로 갖고 있다”고 여전히 믿는 이도 있다.
분명한 건 글쓴이들 모두 치유의 과정에 용서, 혹은 최소한 그리하려는 마음들이 늘 자리잡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이해나 망각 등과는 다소 다른 감정으로 보인다. 스스로의 치유를 위해 용서를 수단으로 삼았다고 볼 수도 있겠으나, 그렇다 해도 이 역시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게 분명하다.
책엔 글쓴이들, 그러니까 ‘용서한 자’들의 사진이 담겨 있다. 남아공의 데즈먼드 투투 대주교의 말을 빌리자면 “복수할 권리를 내려놓고 분노의 사슬을 끊을 수 있는 능력”을 실천해 보인 이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보일 듯 말 듯, 잔잔한 미소를 입에 걸고 있다. 눈빛엔 관조와 달관이 늘 머무는 듯하다. 이 표정 뒤에 숨겨진 건 아픔과 인고의 세월일 것이다. 그 때문에 사진을 하나하나 일별하는 것만으로도 마음 한구석이 차분해지는 듯하다.
한국 성인의 50%가 분노조절 장애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한 의사가 밝힌 내용이다. 굳이 주장의 정확성 여부를 따지지 않더라도, 한국 사회에 분노와 혐오가 폭증하고 있다는 건 누구나 체험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책이 던지는 의미가 깊고 무겁게 느껴지는 건 그 때문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아들을 죽인 소년을, 자신을 성폭행한 남자를, 아버지의 목숨을 앗아 간 자살 폭탄 테러범을 용서할 수 있을까. 만약 그런 이가 있다면, 그는 왜 평생 지울 수 없는 상처와 고통을 받고도 용서를 결심했을까. 새 책 ‘나는 너를 용서하기로 했다’에 이 물음에 대한 답이 있다.
책을 관통하는 정서는 스스로 가장 빨리 치유할 수 있는 길은 용서와 맞닿아 있다는 것이다. “용서란 그 행동을 용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 내재한 불완전성을 용서하는 것이다.” 술주정뱅이 아버지의 손에 어머니를 잃은 미국 여성 서맨사 롤러가 한 말이다. 스코틀랜드의 흑인 여성 막달리나 마콜라는 자신을 납치한 남성에게 “나는 그에게 기회를 주고 싶다”고 했다. 이처럼 용서의 형태와 그 행동에 스민 정서는 조금씩 다르다. 보스니아의 케말 퍼바닉처럼 “모든 인간은 다른 인간을 죽일 수 있는 가능성을 잠재적으로 갖고 있다”고 여전히 믿는 이도 있다.
분명한 건 글쓴이들 모두 치유의 과정에 용서, 혹은 최소한 그리하려는 마음들이 늘 자리잡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이해나 망각 등과는 다소 다른 감정으로 보인다. 스스로의 치유를 위해 용서를 수단으로 삼았다고 볼 수도 있겠으나, 그렇다 해도 이 역시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게 분명하다.
책엔 글쓴이들, 그러니까 ‘용서한 자’들의 사진이 담겨 있다. 남아공의 데즈먼드 투투 대주교의 말을 빌리자면 “복수할 권리를 내려놓고 분노의 사슬을 끊을 수 있는 능력”을 실천해 보인 이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보일 듯 말 듯, 잔잔한 미소를 입에 걸고 있다. 눈빛엔 관조와 달관이 늘 머무는 듯하다. 이 표정 뒤에 숨겨진 건 아픔과 인고의 세월일 것이다. 그 때문에 사진을 하나하나 일별하는 것만으로도 마음 한구석이 차분해지는 듯하다.
한국 성인의 50%가 분노조절 장애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한 의사가 밝힌 내용이다. 굳이 주장의 정확성 여부를 따지지 않더라도, 한국 사회에 분노와 혐오가 폭증하고 있다는 건 누구나 체험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책이 던지는 의미가 깊고 무겁게 느껴지는 건 그 때문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8-02-1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