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의 미러링/박가분 지음/바다출판사/248쪽/1만 2800원
최근 잇달아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메갈리아’와 ‘워마드’의 실체를 파헤친 책이다. 이들 인터넷 커뮤니티의 게시글을 하나하나 분석해 이들의 출현 배경과 각종 혐오 발언의 실태를 보여 주고 있다. 이를 통해 이들이 내세우는 ‘미러링’의 논리, 그러니까 “인터넷에 만연한 여성 혐오를 남성을 향해 되비칠 뿐”이라는 주장의 허구성을 밝히고 메갈리아가 ‘일베’와 마찬가지로 사이버폭력을 즐기는 반사회적 혐오 커뮤니티라는 사실을 밝히겠다는 게 저자의 의도다.
위키백과 등에 따르면 메갈리아는 여성 혐오 대항 사이트이자 남성 혐오 사이트다. 워마드는 메갈리아에서 파생된, 남성 혐오와 여성우월주의를 조장하는 사이트다. 사실 이들 커뮤니티에 대해 상당수 언론들은 ‘남성 혐오가 아닌 여성 혐오에 대한 혐오(여혐혐)’라는 식의 주장을 그대로 인용해 썼다. 그러나 저자는 “여성 혐오를 반대하는 것과 ‘메갈리아/워마드’를 옹호하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라는 입장이다. 인터넷 지형을 조금만 파고들어가면 남성 대 여성, 여성 혐오와 남성 혐오의 대결구도가 아니라 상식과 비상식의 대결구도라는 게 금방 드러난다는 것이다.
혐오 발언의 폭주에 대해 대개는 남녀 간 불평등, 성비 불균형 등을 원인으로 꼽는다. 하지만 저자는 다르다. 또래문화의 결핍과 또래집단 간 단절이 주범이라고 본다. 우리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입시와 취업 경쟁에 시달린다. 아이가 어른이 되는 데 필수적인, 또래집단 간의 갈등을 자율적으로 해소할 아이들만의 사회적 공간은 거의 없다. 그렇게 자란 젊은이들에게 SNS와 인터넷 커뮤니티는 결핍됐던 또래문화의 거의 유일한 대체재다. 문제는 온라인상의 또래집단 규모가 커질수록 그들 간의 단절도 심화된다는 점이다. 결국 젠더 혐오 발언도 남녀 간의 수직 관계로 인한 갈등이라기보다 수평적 또래집단 간의 갈등에 가깝다는 것이다.
그럼 인터넷에 대규모로 실재하는 젊은이들을 어떻게 현실의 교류 공간으로 불러낼 것인가. 저자는 “‘서로를 존중하자’라는 식의 계몽주의적 당위론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고 단언한다. 이들이 도덕이나 인권을 몰라서 그러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저자가 주장하는 방법은 선명하다. 반면 다소 거칠다. 첫째, 메갈리아가 내세우는 미러링의 논리를 역이용해 혐오 발언의 실태를 구체적인 수치와 키워드를 통해 대중에게 그대로 보여주고 둘째, 소수 악플러들에 대한 블랙리스트 작성과 체계적 관리를 고려하며 셋째, 포털 사이트와 커뮤니티 등에서 이뤄지는 각종 혐오 발언의 현황을 주기적으로 노출하도록 의무화해 정량화된 ‘혐오지수’를 게시하자는 것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위키백과 등에 따르면 메갈리아는 여성 혐오 대항 사이트이자 남성 혐오 사이트다. 워마드는 메갈리아에서 파생된, 남성 혐오와 여성우월주의를 조장하는 사이트다. 사실 이들 커뮤니티에 대해 상당수 언론들은 ‘남성 혐오가 아닌 여성 혐오에 대한 혐오(여혐혐)’라는 식의 주장을 그대로 인용해 썼다. 그러나 저자는 “여성 혐오를 반대하는 것과 ‘메갈리아/워마드’를 옹호하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라는 입장이다. 인터넷 지형을 조금만 파고들어가면 남성 대 여성, 여성 혐오와 남성 혐오의 대결구도가 아니라 상식과 비상식의 대결구도라는 게 금방 드러난다는 것이다.
혐오 발언의 폭주에 대해 대개는 남녀 간 불평등, 성비 불균형 등을 원인으로 꼽는다. 하지만 저자는 다르다. 또래문화의 결핍과 또래집단 간 단절이 주범이라고 본다. 우리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입시와 취업 경쟁에 시달린다. 아이가 어른이 되는 데 필수적인, 또래집단 간의 갈등을 자율적으로 해소할 아이들만의 사회적 공간은 거의 없다. 그렇게 자란 젊은이들에게 SNS와 인터넷 커뮤니티는 결핍됐던 또래문화의 거의 유일한 대체재다. 문제는 온라인상의 또래집단 규모가 커질수록 그들 간의 단절도 심화된다는 점이다. 결국 젠더 혐오 발언도 남녀 간의 수직 관계로 인한 갈등이라기보다 수평적 또래집단 간의 갈등에 가깝다는 것이다.
그럼 인터넷에 대규모로 실재하는 젊은이들을 어떻게 현실의 교류 공간으로 불러낼 것인가. 저자는 “‘서로를 존중하자’라는 식의 계몽주의적 당위론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고 단언한다. 이들이 도덕이나 인권을 몰라서 그러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저자가 주장하는 방법은 선명하다. 반면 다소 거칠다. 첫째, 메갈리아가 내세우는 미러링의 논리를 역이용해 혐오 발언의 실태를 구체적인 수치와 키워드를 통해 대중에게 그대로 보여주고 둘째, 소수 악플러들에 대한 블랙리스트 작성과 체계적 관리를 고려하며 셋째, 포털 사이트와 커뮤니티 등에서 이뤄지는 각종 혐오 발언의 현황을 주기적으로 노출하도록 의무화해 정량화된 ‘혐오지수’를 게시하자는 것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9-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