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소득의 크기 대신 행복의 크기를 봐라

경제학, 소득의 크기 대신 행복의 크기를 봐라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5-07-17 17:48
수정 2015-07-17 17: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행복, 경제학의 혁명/브루노 S 프라이 지음/유정식 등 옮김/부키/376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전통적인 경제이론에서는 사람들이 경제적 행동을 추동하는 주된 요인으로 ‘효용’ 개념을 적용해 왔다. 경제활동의 궁극적 목적은 소득과 소비를 통해 만족감을 얻는 것이라고 보고, 이를 효용으로 설명한 것이다. 한데 문제가 있다. 효용을 측정해 계량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여러 경제 정책들을 수립하고 결실을 얻는 데 장애물로 작용한다.

예를 들자. 누구든 자신이 기대했던 것보다 돈을 더 벌어들인다 해도 금세 해당 소득 수준에 적응한다. 높은 소득에 따른 효용감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줄게 된다. 이를 ‘이스털린 역설’ 혹은 ‘행복의 역설’이라고 부른다. 미국의 경우 1946년과 1991년 사이에 1인당 실질소득이 2.5배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동안 행복 수준은 평균적으로 거의 일정했다. 이는 결론 도출을 위해 항상성, 예측 가능성 등 과학적 분석틀을 들이댈 여지가 적다는 뜻이다. 그런데 행복의 수치를 구체적으로 측정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예측 가능한 데이터를 산출해 이를 여러 합리적인 경제 정책들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새 책 ‘행복, 경제학의 혁명’이 주장하는 것도 바로 이 같은 내용이다.

저자는 먼저 비용과 편익이라는 결과적 효용에만 초점을 맞춘 표준 경제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무엇보다 효용의 예측 실패 가능성이 높다는 게 문제다. 저자는 효용보다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이 더 중요한 요소라고 본다. 행복은 측정 가능한 것이며 나아가 기존 경제학에서의 효용을 대체할 수 있는 개념인데,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저자가 활용한 도구가 바로 ‘주관적 안녕감’이라는 심리학 용어다. 저자는 이를 통해 다양한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기존 경제학에서는 설명하기 어려웠던 경제적 행동들을 규명하려 애썼다. 행복 연구가 아직 완전한 단계에 이른 것은 아니지만, 효용을 측정할 수 없다는 기존 경제학의 주장에 반해 ‘주관적 안녕감’이라는 분명한 측정치로 경제적 행동의 효용을 계량화할 수 있음을 보여 준 건 중요한 결실이다. 저자는 이런 방식의 행복 측정이 궁극적으로 경제적 행동을 해석하고 경제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나아가 현재 한 나라의 부를 평가하는 일반적 척도인 ‘국민총생산’(GNP)을 대신해 ‘국민총행복’(GHP)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자고 제안한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07-1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