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듯 머나먼 대마도의 수수께끼

가까운 듯 머나먼 대마도의 수수께끼

김성호 기자
입력 2015-07-10 18:10
수정 2015-07-10 19: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마도의 진실/한문희·손승호 지음/푸른길/362쪽/2만 5000원

일본인보다 한국인이 더 많이 찾는 일본 땅, 일본 본토보다 한반도와 더 가까운 일본 땅…. 한반도에서 배로 1시간 30분이면 닿는 외국 땅 대마도는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사연들이 숱하게 담긴 곳이다. ‘대마도의 진실’은 수수께끼 같은 그 대마도의 궁금함을 쉽게 풀어 주는 책이다. 사단법인 미래한국영토포럼의 이사장과 본부장이 작심하고 대마도를 파고들었다. 그동안 출간된 대마도 관련서와 달리 지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게 특징. 대마도의 장소적 특징과 지명 유래, 풍토, 주민 생활, 지리적 여건 등을 두루 설명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책에서 눈여겨볼 부분은 역시 대마도의 역사적 역할과 영토주권이다. 국내외에서 제작된 고지도를 통해 고지도상의 대마도가 어떻게 묘사됐고 어느 나라에 속한 땅으로 표기됐는지를 명쾌하게 설명한다. 대마도를 구성하는 행정 단위인 6개의 마치(町)를 자세히 다룬 점도 도드라진다. 남쪽부터 북쪽 끝까지 포진한 각 마치의 특징을 비롯해 우리와 관련된 마을들에서 우리 역사 속 대마도의 흔적을 쉽게 찾을 수 있다.

1750년대 제작된 ‘해동지도’ 중 ‘대동총도’의 설명문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백두산은 머리이고 대관령은 척추이며 영남지방 대마도와 호남지방 탐라를 양발로 삼는다.’ 한반도를 인체에 비유한 선조들의 유기체적 국토관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조선 조정은 대마도를 일본에 어떠한 형태로도 넘겨주거나 양도한 적이 없다”고 잘라 말하는 저자들은 대마도가 삼국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우리 영토’였다는 지론을 설득력 있게 편다. 그러면서 “일본이 자기들 멋대로 잘라가 버린 우리 영토의 한쪽 발인 대마도를 되찾아야 한다”고 매듭짓는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7-1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