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숙 “논란 된 ‘우국’ 모른다” 번역가 “우연치고는 너무 흡사”

신경숙 “논란 된 ‘우국’ 모른다” 번역가 “우연치고는 너무 흡사”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6-17 23:22
수정 2015-06-17 23: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96년 발표 단편 ‘전설’ 日 미시마 유키오 소설 표절 의혹 일파만파

베스트셀러 작가 신경숙(52)씨가 1996년 발표한 단편 ‘전설’의 일부가 일본 극우 작가 미시마 유키오의 ‘우국’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신씨가 관련 의혹을 강력 부인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문단 안팎에서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문학 작품의 표절 여부를 판명하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미지 확대
신경숙 작가
신경숙 작가
신씨는 17일 문제의 작품이 실린 소설집 ‘오래전 집을 떠날 때’를 발행한 출판사 창비를 통해 “오래전 ‘금각사’ 외엔 읽어본 적 없는 작가로 해당 작품(‘우국’)은 알지 못한다”며 “이런 소란을 겪게 해 독자 분들께 미안하고 마음이 아프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풍파를 함께 해왔듯 나를 믿어주시길 바랄 뿐이고, 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이런 일은 작가에겐 상처만 남는 일이라 대응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신씨는 현재 신작 집필을 위해 몇 달째 서울을 떠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창비도 문학출판부 명의로 “인용 장면들은 두 작품 공히 전체에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며 ”해당 장면의 몇몇 문장에서 유사성이 있더라도 이를 근거로 표절 운운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문단 내에선 터질 게 터졌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기차는 7시에 떠나네’ ‘작별인사’ ‘딸기밭’ 등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불거졌던 신씨의 표절 논란은 요즘처럼 인터넷이 구축되지 않아 문단 내에서만 갑론을박하다 흐지부지됐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다. 포털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표절 논란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작가는 “문단 내에서도 모르는 게 아니다. 표절이 명백해 어이가 없어도 공론화가 안 될 걸 알기에 덮고 지나왔을 뿐”이라고 털어놨다. 출판사 관계자는 “신씨는 문화권력 안에 편입돼 있어 어느 누구도 공식적으로 표절 얘기를 하지 않으려 한다. 평론가들도 침묵할 뿐”이라고 꼬집었다.

논란이 된 미시마 유키오의 작품을 번역한 김후란(81·문학의집 서울 이사장) 시인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예문 나온 걸 보니까 단순한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에는 정말 많이 흡사했다”며 “원작자가 살아 있었다면 뭐라고 하겠지만 그 사람도 지금 세상을 떠난 사람이고. (신씨는) 작가로서는 (‘전설’을 쓸 때) 뭔가 자기 입장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단 내에선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문학평론가 A씨는 “황우석 사태 이후 학계는 논문 표절 여부를 판정하는 규정이 마련됐다”며 “문단에서는 지금껏 공론화된 적이 없어 공신력 있는 기준 자체가 없다. 그러다 보니 표절이다 말하기 쉽지 않다는 식으로 어물쩍 넘어가면 그만이다”고 비판했다. 문학평론가 B씨는 “과거 신경숙 외에도 조경란, 하일지 등 소설가들의 표절 논란이 있었지만 잠깐일 뿐 후속이 뒤따르거나 논쟁으로 번진 경우는 없었다”며 “표절을 계속 물고 늘어져 확증까지 가야 하는데 그런 사례가 별로 없었다”고 했다.

앞서 지난 16일 소설가 겸 시인인 이응준(45)씨는 온라인매체 허핑턴포스트에 올린 글 ‘우상의 어둠, 문학의 타락’에서 단편 ‘전설’의 한 대목이 미시마 유키오의 단편 ‘우국’의 일부를 표절했다고 주장했다. 이씨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았다”고 했다. “문인이 제대로 된 글로 제대로 된 입장을 밝히면서 명확하게 기록으로 남겼다는 게 중요하다. (신씨는) 표절한 게 더 많다. 사람들이 말을 안 할 뿐이다. 문단 생활 계속하려면 대놓고 말할 사람 없다. 신씨 개인이 저지른 일이지만 우리는 침묵의 공동 범죄자가 된 거다. 빨리 이 상처를 덜어내야 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6-1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