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 1층에 동네 책방 들어서
A시 시립도서관 한쪽에 크지도 작지도 않은, 아담한 규모의 서점이 차려져 있다. 매일 도서관을 오가는 수백명 넘는 이용자 중 절반 이상이 여기서 책을 산다. 주말마다 가족나들이 삼아 찾아오는 단골손님까지 생겼다. 이 서점을 찾는 사람들은 덤으로 누릴 수 있는 혜택도 쏠쏠하다. 유명 작가와의 만남, 인문학 강연, 도서관 사서 추천도서 등 시내 대형서점이 아니고서는 접할 수 없었던 도서 관련 행사들이 즐비하다. 도서정가제 시행으로 어차피 대형서점이나 온라인 서점에서도 할인혜택을 크게 볼 수 없으니 집 근처의 도서관 서점은 매력만점이다. 도서관에서 빌려보려다 아예 소장하고 싶은 욕심이 드는 책을 만났을 때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좋다.6일 서울 서초구 국립중앙도서관 본관 1층에 문을 연 도서관 서점 1호 ‘책사랑’에서 시민들이 책을 골라 보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6일 서울 서초구 국립중앙도서관 본관 1층에 ‘동네 서점’이 문을 열었다. 46㎡ 규모에 2000여권의 도서를 갖췄다. 책을 빌려보는 도서관에서 책을 사는, 기발한 역발상의 도서관 서점 1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빈사 위기의 중소 서점을 살리기 위한 취지에서 이곳에 동네서점을 유치하고, 앞으로 이 프로그램을 전국 공공도서관으로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도서관 서점’은 문체부와 한국서점조합연합회(이하 한국서련)의 역발상에서 출발했다. 한국서련에서 지난해 전국 서점을 전수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편의점, 문구점 등을 겸업하는 서점을 제외한 순수한 동네서점은 1625곳이었다.
전국의 공공도서관은 국공립 877개, 사립 385개 등 1262개. 전국의 도서관 수가 빈사 위기의 동네서점 수와 엇비슷하다는 데서 착안했다. 공공기관으로 분류된 국공립 도서관의 경우 입점 서점은 공공기관 임대사업 기준을 적용받아 임대료가 저렴하다는 장점도 크다.
성미희 한국서련 총괄실장은 “도서관에서 과연 책을 사볼 것인가 하는 의구심도 있지만, 책을 읽는 수요가 결국 구매하는 수요로 연결된다고 생각한다”면서 “대형서점, 온라인 서점의 위력에 짓눌린 동네 서점이 도서관에 입점할 수 있다면 당장의 경영난 해소는 물론이고 시민들에게는 수준 높은 책 문화 복지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수연 국립중앙도서관 사서는 “지역 서점 활성화 방안이자 도서관-서점 상생 방안으로서 이번 실험을 통해 성공모델을 만들면 다른 도서관으로 계속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도서관 서점 1호점의 주인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 경희대 앞에서 33년째 서점을 운영하고 있는 김의수(61)씨. 동네서점 4곳과 입점 경쟁을 벌인 김 대표는 “없던 도서관이 새로 들어서면 주변의 동네서점은 고사하게 되지만, 기존의 도서관과 연계하는 전략은 충분히 상생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자신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3-0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