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민주주의 대립 사이 디지털,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자본주의·민주주의 대립 사이 디지털,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입력 2014-12-17 00:00
수정 2014-12-17 02: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맥체스니 美교수 ‘디지털 디스커넥트’

미래의 변화는 쉽사리 이해하거나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고 복잡하다. 그 변동 속에서도 인터넷의 기능만큼은 명확하다. 인간 삶의 거의 모든 측면과 결부되면서 인간의 삶과 정치를 지배하려는 속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금까지 인터넷으로 상징되는 디지털 기술의 역할에 대한 전망은 예찬론과 비관론으로 크게 나뉜다. 물론 제대로 논쟁의 장을 형성하기 힘들 정도로 예찬론이 지배적이긴 하다. 구체적인 기술에 의한 장밋빛 미래를 상상하고 현실 속 승리적 경험의 예시까지 들어온 덕분이며 비관론은 현실적 패배주의의 푸념처럼만 들릴 정도다.

이미지 확대
예찬론은 인터넷이 비즈니스 시스템을 혁명적으로 바꿔 놓고 다양하고 전면적인 참여를 통해 문화민주주의의 새 장이 펼쳐질 것이며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뛰어넘어 직접민주주의가 실현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기존의 권력관계는 재편될 수밖에 없다는 내용이다. 세상이 훨씬 좋아질 것이라는 확신이다. 실제 지식과 정보가 생산, 소비, 유통, 공유되는 과정은 과거와 질적으로 판이해졌다. 간혹 굳이 머리 아프게 정치에 개입하지 않아도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결론으로 귀결되는 이론도 있다.

하지만 비관론의 반론도 만만치 않다. 그 사이 디지털 기술을 장악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한 쪽은 거대기업과 자본이었다. 예컨대 중국처럼 거대 권력을 가진 지배세력도 힘없는 사람들만큼이나 디지털 기술을 규제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과 자원을 갖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사회에서도 카톡 검열 및 감청 논란 등이 벌어졌던 것이 대표적 사례가 될 수 있다. 여기에 심지어 마크 바우얼레인 교수는 2008년 ‘가장 멍청한 세대’라는 책을 내며 디지털 세대가 시민의식, 역사·지리·과학·문학 등에서 놀라울 만큼 무지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로버트 W 맥체스니 미국 일리노이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의 연구는 여기에서 출발한다. 두 주장 모두 실재하는 자본주의를 무시할 뿐 아니라 자본주의가 지배하고 있는 사회생활을 평가절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시장과 자본주의가 민주주의와 본질적으로 등치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외면하는 등 정치경제학적 맥락이 없다는 지적이다. 소셜미디어를 가능케 한 디지털 기술 혁신은 날로 새롭게 이뤄지고 있고 참여와 협업, 공유는 날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불평등과 빈곤, 사회적 양극화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으며 전지구적 자본주의 시스템은 심각한 위기 상태로 들어서고 있다. 자본주의와 민주주의가 등치되는 개념이 아님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 그는 ‘포스트 자본주의적 민주주의’ 개념을 내놓고 자본주의와 갈등의 결과로 민주주의가 살아 남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가 최근 펴낸 저서 ‘디지털 디스커넥트’의 부제는 ‘자본주의는 어떻게 인터넷을 민주주의의 적으로 만들고 있는가’다.

맥체스니 교수는 ‘디지털 혁명은 결코 테크놀로지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사회가 그것을 어떻게 발전시킬지 정하는 바에 따라서 그 형태가 정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일찍이 150년 전에 설파했듯 자본주의가 품고 있는 핵심적인 문제는 생산의 사회화 및 발전과 이윤의 사적인 전유 시스템 사이의 모순이다. 즉, 마르크스식으로 말하자면 디지털 기술은 생산수단으로 인식해야 하며 이 생산수단을 사적으로 전유하려는 욕망과 싸우고 그에 따른 생산관계의 모순을 어떻게 해소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얘기다. 또한 생산수단을 활용하기 위한 내용물은 결국 사람과 집단, 시민사회가 채워 나가야 할 몫이 된다는 의미다.

결론은 명쾌하다. 디지털 기술혁신은 사람이 조직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집단이 같은 꿈을 꾸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진다면 그저 누군가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고 불평등과 빈곤, 부패 등을 심화시켜 세상의 변화를 더욱 어렵게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반대라면? 디지털 기술혁신의 폭발적인 파괴력은 더욱 커지는 것 또한 자명하다. 맥체스니 교수는 거의 전적으로 미국의 상황을 얘기하지만 한국사회 상황과 하등 다를 바 없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4-12-1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