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만에 소설집 ‘이 인간이 정말’ 펴낸 성석제
“이야기라는 게 문장을 뽑아내는 시추기 같아요. 이야기에는 힘이 있으니까, 흘러가는 대로 문장이 나와요.”타고난 이야기꾼도 글이 풀리지 않을 때가 있을까. 소설가 성석제는 “산업 쓰레기 같은 문장만 나올 때는 다른 일을 하면서 안에 있는 것을 비우려고 한다”고 말한다. “쓸 때는 즐겁지만 사실 소설은 고치는 일”이라는 그는 “고치는 과정이야말로 장인의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2008년 ‘지금 행복해’ 이후 5년 만에 펴낸 소설집 ‘이 인간이 정말’(문학동네) 역시 삶에 대한 풍요로운 재담을 들려준다. 책에 실린 8편의 단편에는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을 법한, 그러나 사소하고 애매해서 문학의 시간만이 비로소 붙잡을 수 있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인물들은 작은 접촉 사고 뒤에도 한몫 챙겨 보겠다는 심산으로 보험 회사에 거짓 전화를 걸고(‘론도’), 남의 글로 백일장에서 장원이 되고도 부상으로 나온 공책과 연필은 뻔뻔하게 챙겨간다(‘찬미(贊美)’). 표제작 ‘이 인간이 정말’은 맞선 장소에 나와 상대는 아랑곳하지 않고 장광설을 늘어놓는 백수의 이야기를 그린다. 이야기들은 물론 표면을 관찰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느물스러운 중년 남자의 표정 뒤에는 뿌리 깊은 고독이 도사리고 있고, 소통은 부재하며, 경제적 욕망과 허영은 되풀이하여 충돌한다.
“사람에 대한 관심이 컸을 거예요. 세상 만물 가운데 결국은 사람.”
그러나 그는 다채로운 인간 군상을 그리면서도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복잡한 내면을 드러내고 싶다는 생각은 전혀 안 했고, 지금도 별로 없다”고 잘라 말한다. 그에게 이보다 중요한 것은 “이야기 자체에 따라 그냥 춤추는 느낌”이며 “작은 이야기를 치밀하게 직조하는 것”이다. 그의 관심은 표면보다는 단면이고, 단면보다는 단면의 응력이며, 응력의 순간적 작용보다는 그것을 움직이는 바깥의 기제다. 그는 “호기심이야말로 소설의 근력”이라면서 “‘별 게 아니다’라고 생각하기 시작하면 소설을 쓸 수 없다”고 덧붙인다.
“사실 살아가는 것 자체가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고, 하는 것이고, 들려주는 것이고, 듣는 것이죠. 여기 아무렇게나 앉아 있는 것 같지만 우리 몸의 피부가 중력에 대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도 이야기고요. 당연한 게 아니냐고 하면 아무것도 아니지만 ‘이게 왜 이렇지’라고 의문을 갖기 시작하면 이야기할 거리는 엄청나게 많아져요.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적하려면 문학은 더 성찰적이고 분석적이고 흥미로워야 하죠.”
그는 이번 학기 10여년 만에 대학에서 소설 쓰기를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조물주에게 세상을 창조하는 방법을 가르칠 수는 없다”면서 “소설이라는 게 장님이 코끼리 만지는 꼴이지만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이 옆에 있다고 말해 주는 정도”라고 몸을 낮춘다. 1986년 문학사상에서 시 ‘유리 닦는 사람’으로 등단했고 1995년 문학동네에 ‘내 인생의 마지막 4.5초’를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소설을 시작했으니 글을 쓴 지는 20년이 훌쩍 넘었다. 그가 “글쓰기의 비결은 원고료”라고 농담처럼 말할 때, 그의 말은 ‘글로 밥 벌어먹는 사람’의 윤리와 자존심을 슬쩍 드러낸다. “이야기는 솜사탕 같아서 부드럽게, 가볍게 써야 부풀어 오른다”는 그는 그동안의 변화를 이렇게 설명한다.
“지금은 느려졌죠. 충분히 힘이 쌓이고 에너지가 응축될 때까지 더 많이 기다리고요. 마냥 내뿜는 식이 아니라 좀 신중해졌다고 할까요. 아이에서 어른이 됐다고 할까. 아니 어른까지는 아니고 아마 사춘기쯤 온 것 같네요(웃음).”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10-02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