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 콘텐츠 승부사들】 정해승 지음 몬스터 펴냄
경술국치 100년이던 2010년 한국의 소녀들이 일본을 문화로 지배하기 시작했다. ‘킬러 콘텐츠 승부사들’(몬스터 펴냄)의 저자 정해승씨는 이와 같은 한류 열풍에는 킬러 콘텐츠를 만들겠다는 일념 하나로 연예계에 뛰어든 대한민국 승부사들의 과감한 혁신과 치밀한 전략이 숨어 있었다고 진단한다.
정씨는 10년 전 삼성엔지니어링에서 플랜트 수출을 담당했고, 현재 CJ E&M 음악공연부문 플랫폼 사업부장으로 일하고 있다. 아이돌을 직접 길러낸 경험은 없지만, 대신 객관적인 시선을 들이댄다.
그는 “춤과 노래를 좋아하는 엔터테인먼트 유전자(DNA)를 가진 민족이,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 것이 미덕이라는 가치관을 몇 백 년 동안 지녀왔고, 목적달성을 위해선 하드코어적인 방법까지 동원하는 억척스러운 성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성향이 있는 민족은 전 세계에서 한민족이 유일하며 또 이런 성향이야말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이끄는 최고의 덕목이기도 하다.”라고 한류의 근본을 설명한다.
요즘 연예인이나 연예기획사에서 많이 쓰는 말 가운데 “촉이 있다.”란 것이 있다. 저자는 이 촉을 ‘스트리트 스마트’란 개념으로 치환한다. 북 스마트(Book smart)에 반대되는 개념인 스트리트 스마트는 책이나 정규 교육을 통해 배운 것이 아니라 세상살이를 통해 얻은 지혜, 혹은 이를 갖춘 사람을 가리킨다. 한국의 정주영이나 미국의 빌 게이츠, 스티브 잡스 등이 스트리트 스마트의 대표적인 예. 어린 시절부터 장사 수완이 좋거나 지도력이 빼어난 인물로 타고난 직관력의 소유자들이다.
한국 연예계가 이처럼 촉에 의지하다 보니 중구난방이고 체계가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스트리트 스마트의 장점은 첫째 의사결정 과정이 간단하다는 것이다. 무한경쟁 시대에 전략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신속한 의사결정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연예산업은 유행의 선봉에 있는 업종이다 보니 한순간 늦는다는 것은 곧 패배를 의미한다.
둘째 “이게 재미있을까?”가 판단의 기준이다. 예를 들어 케이블TV 시청률의 기적을 만든 ‘슈퍼스타K’의 경우 무려 1800시간의 녹화 테이프를 제작진이 토론 끝에 시청자의 입장에서 편집해 탁월한 심리게임이란 칭송을 들었다.
셋째 연예 산업은 순수한 ‘사람 장사’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부딪쳐 경험으로 얻는, 관계를 맺는 비법이 중요하다. 우리 눈에는 고만고만해 보이는 아이돌들이 왜 일본에서 그토록 인기를 끌고 있는지 저자는 다양한 실례를 통해 알려준다. 1만 5000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08-0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