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사는 이야기 한편 개념·원리 살펴보면서 삶·세상 알게 되었죠”
수학이란 말을 떠올릴 때 흔히 ‘어렵다’ ‘머리 아프다’는 말과 연관 짓는다. 우선은 무미건조하고 딱딱한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를 흥미진진한 동화처럼, 재미있는 철학처럼 생생하게 설파하는 사람이 있다. 김용관(40)씨는 수학자도 아니고 수학을 전공하지도 않았다. 그래서 더 수학을 흥미롭게 풀어내는지도 모르겠다. 그는 최근에 쓴 ‘수냐의 수학카페’(궁리 펴냄)라는 책을 통해 이를 입증하고 있다.‘수냐’ 김용관씨가 수학 속에 깊숙이 접목돼 있는 인문학과 철학, 역사학, 예술 등에 관해 얘기하고 있다. 수학을 전공하지 않았지만 누구보다 수학, 정확히는 인문학 향기가 나는 수학을 사랑한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지난 13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 1층 카페에서 김씨를 만났다. 알고 보니 그는 고려대 산업공학과를 나왔고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에서 공부를 한 뒤 현재 초·중·고등학교 대안학교인 ‘성미산학교’와 ‘꽃피는 학교’ 등에서 수학 얘기를 하고 있었다.
먼저 책 제목에 나오는 ‘수냐’가 무슨 뜻인지 물었다.
“수냐(Sunya)는 비어 있음, 즉 공(空)을 뜻하는 인도말로 최초의 0을 의미합니다. 제 별칭이기도 하고요. 대안학교에서 학생들이 ‘선생님’이 아닌 ‘수냐’로 부르거든요.(웃음)”
●“미적분 왜 하지”에 답하려 공부
수학 전공자가 아닌데 어찌하여 ‘수냐의 수학카페’라는 책을 냈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어느날 선배에게 ‘미적분을 왜 하지?’라는 질문을 받았는데 할 말이 없었고, 그래서 별도로 ‘수학사’를 공부했다. 그러다 보니 수학을 통해 삶의 다양성을 얘기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때마침 대안학교에서 수학사 강의를 해 달라는 요청이 왔다.
“수학사는 수학의 개념과 원리들이 어디서, 누구에 의해, 어떻게 만들어져 발전하고 정립했는지를 살펴보는 스토리텔링입니다. 기승전결이 있는 한편의 이야기나 다름없지요.”
●예술 등과 연계 강의 이해 도와
그래서 그가 가르치는 대안학교에서는 수학이 단연 인기 과목이다.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역사, 사회, 문화, 예술, 철학 등의 다양한 분야와 그 연계 속에서 살펴보기 때문이다. 아울러 그림이나 이미지, 문학, 동영상 등의 보조자료를 활용하여 토론과 이야기 위주로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을 처음 듣는 이들이 가끔 ‘그것도 수학이냐’라는 질문을 던지곤 합니다. 그러나 수업에 적응하고 나면 ‘수학으로 그런 얘기를 할 수 있구나’라고 하지요. 단순히 시험을 치는 기술이 아니라 삶과 세상을 이해하는 수학으로 알게 됩니다.”
예를 들면 이렇다. 원래 수학의 기본 재료라고 하면 자연수, 분수, 소수, 무리수, 허수, 복수 등을 얘기하지만 김씨는 인류가 하나, 둘, 셋… 등의 셈을 어떻게 시작하게 됐으며 다양한 수가 역사적 맥락에서 어떻게 탄생되었는지를 가르친다.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수학적 지식이 아닌 수학의 역사가 정연하게 한 호흡으로 연결되는 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 책은 수학자 유클리드와 니체가 만나 논쟁을 벌이는 것으로 시작된다.
유클리드 수학만 잘한다면 세상의 모든 비밀을 알아낼 수가 있어. 자네 고등학교 때 수학 때문에 낙제생이 될 뻔했던 게 사실인가.
니체 그런데 그건 내가 문학과 같은 다른 분야에 깊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야. 결국 난 세상의 진리를 충분히 알아냈고 신이 죽었다는 것도 알아냈지.
김씨는 1971년 전남 나주에서 태어났으며 조선대 부속고를 졸업(1989년)했다. 일반 직장과 시민단체에서 근무하다가 6년 전부터 대안학교 교사로 일하고 있다. ‘수냐의 수학카페’를 시작으로 관련 책 여섯권을 연말까지 펴낼 예정이다.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1-04-1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