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단은 당연히 반색이다.
한국소설의 위기가 심심찮게 거론되고 있는 요즈음 ‘남한산성’이 한국소설 중흥의 단초를 제공하길 바라고 있다.
●대형 작가들 신간·연재물 잇따라 분위기 ´고조´
분위기는 무르익었다.
대형작가들이 잇따라 신간을 발표하고 있는데다, 신문이나 문예지 연재물들도 많아 파도를 타듯 한국소설의 인기가 지속될 물적 토대는 갖춰져 있는 셈이다.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으로 피란간 조선 왕조의 47일간의 치욕적인 기록을 담은 ‘남한산성’은 한때 한국소설을 떠났던 남성 독자들을 끌어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조를 사이에 두고 주화파 최명길과 척화파 김상헌이 벌이는 논쟁, 그리고 이들의 중간에서 줄타기를 하는 영의정 김류의 좌고우면, 전쟁과는 무관하게 조정이 떠나기만을 바라는 궁안마을 백성들의 바람, 인조가 칸 앞에 무릎을 꿇은 삼전도의 치욕 등은 남성 독자들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도록 만든다. 그동안 우리가 애써 외면했던 치욕의 역사를 다룬 것도 독자들로서는 뜻밖이었다.
●지난해 9월 이후 한국소설 첫 쾌거
그럼 과연 `남한산성´의 인기는 한국소설 중흥의 계기가 될 것인가. 한국소설이 최고의 베스트셀러가 된 것은 지난해 9월 공지영씨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이후 거의 9개월 만이다. 그동안 한국소설은 아예 베스트셀러 목록에서 찾아볼 수조차 없었다. 중간에 김원일씨의 ‘전갈’, 조정래씨의 `오 하느님´, 김영현씨의 ‘낯선 사람들’ 등 대형작가들의 장편들이 잇따라 나왔지만 독자들은 일본소설만 찾을 뿐 우리 소설을 외면해 왔다. 문학평론가인 천정환 성균관대 국문과 교수는 “하위계급의 남성 및 여성 독자와 상층계급의 남성 독자는 소설로부터 이탈했다.”면서 “남은 건 엽기·추리·무협 등 하위 서사장르를 소비하는 남성 중간계급 일부와 여성 중간계급뿐이다.”라고 이유를 분석했다. 우리 소설이 중간계급의 전유물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떠났던 상위 계급 남성독자 발길 되돌려
헌데 그렇게 떠난 상층계급의 남성 독자들이 ‘남한산성’을 계기로 돌아왔다. 여기에 탄탄한 서사와 맛깔나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대형작가 신경숙씨가 최근 장편 ‘리진’을 발표했다. 조선말 프랑스 외교관을 따라 파리로 떠났다 돌아온 궁중무희의 사랑과 비극적인 삶을 소설로 형상화한 이 작품은 신문연재때부터 비상한 관심을 끌었었다.
여기에 베스트셀러 작가 공지영씨도 자신의 가족사를 다룬 ‘즐거운 우리집’을 일간신문에 연재하고 있는데다 ‘객주’의 작가 김주영씨도 새로운 장편 ‘붉은 단추-최근에 있었던 옛날 이야기’를 현대문학 6월호부터 연재하기 시작해 이들의 작품이 완성돼 나올 내년 초까지 한국소설 붐이 이어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떠났던 독자들의 눈길을 되돌릴 수 있는 한국소설의 저력이 되살아날지 문단 안팎은 베스트셀러 목록을 주목하고 있다.
박홍환기자 stinge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