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당선작-심사평] 소외되고 병든 자의 역설, 자신의 언어로 짚은 ‘시지프스’

[2019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당선작-심사평] 소외되고 병든 자의 역설, 자신의 언어로 짚은 ‘시지프스’

입력 2018-12-31 17:40
수정 2019-01-01 02: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정홍수·조연정

올해 평론 부문 투고작들은 최근의 사회적 이슈나 문단의 흐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투고자 개인의 문학적 취향을 드러내거나 대상 작가의 문학적 본질을 탐색하는 데 더 공을 들인 듯했다.
이미지 확대
심사위원 정홍수(왼쪽)·조연정(오른쪽) 문학평론가.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심사위원 정홍수(왼쪽)·조연정(오른쪽) 문학평론가.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바람직한 현상이라는 생각은 들지만, 문학 평론이 작품을 경유해 공적인 대화의 장을 마련하는 행위라는 점을 고려할 때 아쉬움이 없지는 않다.

최근작을 선점해 새로운 문제의식을 성급하게 제안하거나, 최신의 이슈나 유행하는 이론을 좇는 것이 평론의 미덕일 수는 없지만, 대상 작품의 선정은 물론 그것에 접근하는 문제의식 및 이론적 틀에 관해서도 어느 정도의 설득력은 필요해 보인다.

심사위원이 공통적으로 주목한 두 편의 글은 ‘시지프스의 나무, 그 역설의 존재론―이영광론’과 ‘신의 놀이―박솔뫼 겨울의 눈빛에 대하여’이다.

라캉-지젝을 경유하여 ‘우연’, ‘자유’, ‘이야기’ 등의 키워드를 통해 겨울의 눈빛을 분석하는 박솔뫼론은 가독성 있는 문장과 이론적 탄탄함이 흥미를 주는 글이다. 그러나 작품을 꼼꼼하게 해명하는 일보다 이론적 틀을 만드는 일에 더 치중하고 있다는 점은 못내 아쉽게 느껴졌다.

대상 작품에 문학적으로 좀 더 밀착한 글이라는 점에서 이영광론이 높이 평가되었다. 이영광의 시에서 ‘소외되고 병든 주체’의 시적 역설을 발견해내는 이 글은 이영광 시의 핵심 동력을 자신만의 문장으로 설득력 있게 풀어낸다.

문학이 점점 왜소해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시지프스가 되어 기꺼이 감당해내야 할 자신의 길”을 가고 있다고 적은 이 글의 마지막 문장은 당선자의 진심어린 출사표처럼 읽히기도 한다. 당선을 축하드린다.
2019-01-01 3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