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표현 이모지에 알파벳 조합한 이모그램 창안 관객 소통·경계 허물기 중시하는 헝가리 디자이너
이미지 확대
이모그램이 인쇄된 노란 공 1000개로 채워진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들이 즐거워하고 있다. 롯데갤러리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모그램이 인쇄된 노란 공 1000개로 채워진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들이 즐거워하고 있다. 롯데갤러리 제공
찡그리거나 무표정한 얼굴보다 미소 띤 얼굴을 대할 때 기분이 좋아지는 건 인지상정. 지금 롯데갤러리 인천터미널점에 가면 1000개의 웃는 얼굴을 만날 수 있다. 노란색 둥근 원 안에서 입을 크게 벌리고 웃거나 한쪽 눈을 찡긋하며 미소짓는 즐거운 표정들. 그런데 가만. 눈과 눈썹, 입 모양이 모두 영어 알파벳이다.
헝가리 디자이너 겸 조형 예술가 키스미클로스(39)가 디지털상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그림문자인 ‘이모지’(emoji)에 특정 단어의 알파벳 철자를 조합해 그 단어가 주는 느낌을 형상화한 ‘이모그램’(emogram)을 고안한 건 2015년이다. 그해 옥스포드사전이 올해의 단어로 ‘이모지’를 선정한데서 착안했고, 1963년 미국 광고디자이너 하비 볼이 합병으로 사기가 떨어진 보험회사 직원들을 위해 만든 ‘스마일리 캐릭터’를 접목시켰다. 이 때문에 키스미클로스의 이모그램은 매우 친숙하게 다가온다.
이미지 확대
이모그램 패턴. 롯데갤러리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모그램 패턴. 롯데갤러리 제공
지난해 광주디자인비엔날레에 초청돼 큰 호응을 얻은 키스미클로미의 한국 첫 개인전 ‘이모그램 위드 러브’가 롯데백화점 인천터미널점 개관 1주년 특별전으로 열리고 있다. ‘나이스’ ‘러브’ ‘럭키’ 등 긍정적인 7개의 감정 이모그램이 새겨진 노란 고무공 1000개로 채워진 ‘볼.룸(Ball.Room)’과 130㎝ 가량의 막대 600개를 핑크빛 천으로 감싸 관객이 사랑의 촉감을 느끼도록 한 ‘러브 필드’ 등의 작품이 설치됐다. 고무공이 가득한 방 안에서 관객들은 마음에 드는 표정을 골라 사진을 찍거나 공을 주고받으며 감정을 교류할 수 있다.
핑크 필드 전시장에 선 키스미클로스. 롯데갤러리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핑크 필드 전시장에 선 키스미클로스. 롯데갤러리 제공
건축, 디자인, 순수미술, 인테리어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는 키스미클로미의 작업 키워드는 소통과 경계 허물기다. 디지털 세상에서 통용되는 이모지, 이모티콘을 현실 세계로 끄집어내 관객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의지를 이모그램으로 구현했듯, 인테리어와 상업광고 작업을 할 때 철학적인 접근을 통해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애쓴다. 그는 “현대 디자인은 한 영역에 머물지 않고, 융복합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시는 2월 23일까지.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