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수장형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개관
옛 연초제조창 577억원 들여 재건축지상 5층 규모 1만 1000여점 수용 가능
김복진 ‘미륵불’·백남준 ‘데카르트’ 등
큐레이터 기획 없이 날것 그대로 관람
미술품 보존·수복도 직접 볼 수 있어
안내·진입로 미비… 내년 중반 ‘완전체’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1층 ´개방 수장고´의 모습. 철제 수장대에 한국 근현대 조각품들이 빼곡히 도열해 있다. 멀리 백남준의 설치 미술 ‘데카르트´가 보인다.
길이 14m, 높이 3.8m의 철제 수장대 1·2층에 한국 근현대를 대표하는 조각품들이 빼곡히 들어차 있다. 흡사 코스트코, 이마트 트레이더스 같은 대형 창고형 할인마트의 매대 같다. 지난 26일 개관 하루 전 기자들 앞에 모습을 드러낸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이다.
청주관은 충북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의 옛 연초제조창(담배 창고)을 재건축해 약 2년간의 건축 과정을 거쳐 완성됐다. 과천, 덕수궁, 서울에 이은 네 번째 국립현대미술관 분관이다. 공사비 총 577억원을 투입해 연면적 1만 9855㎡, 지상 5층 규모로 건립됐다. 수장 공간(10개), 보존과학 공간(15개), 기획전시실(1개), 교육 공간(2개), 라키비움(조사 연구 공간) 및 관람객 편의시설 등을 갖췄다.
청주관의 가장 큰 특징은 ‘국내 최초 수장형 미술관’이라는 점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1300여점과 미술은행 소장품 1100여점을 옮겨 왔으며 총 1만 1000여점까지 수용 가능하다. 1층과 3층에는 관람객들이 직접 들어가 작품들을 둘러볼 수 있는 ‘개방 수장고’와 유리창 너머로 관람이 가능한 ‘보이는 수장고’를 운영한다. 이는 전시를 위해 바깥에 나오는 게 아니면 일생을 수장고에서 보내는 미술관 소장품들의 한계와 수장고 포화 문제를 대응하기 위한 조처다. 장엽 개관준비단 운영과장은 “미술품은 보통 대중들에게 큐레이터의 연구 기획, 즉 ‘셀렉션’이라는 과정을 통해 공개되는데 그 과정에서 큐레이터의 관점·시각에 맞는 작품만 보여지는 경향이 있었다”며 “작품과 관람객 간의 직접적 만남을 모색하는 게 세계적인 추세”라고 설명했다. 스위스의 샤울라거를 비롯해 영국의 V&A(Victoria&Albert) 박물관, 프랑스 루브르 랑스(Louvre-Lens) 박물관 등이 이에 속한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의 전경.
김종흠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가 청주관 3층의 ´보이는 수장고´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회화 전문 수장고의 작품들은 운송이 편리하게끔 바퀴가 달린 특수 보관대에 올려져 있다.
지난 26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4층 ‘보이는 보존과학실´에서 직원들이 면봉으로 작품을 복원하고 있다.
수장형 전시실에서 느끼는 ‘불친절’은 5층 기획전시실에서 다소 해소된다. 5층에서는 현재 개관 특별전 ‘별 헤는 날: 나와 당신의 이야기’가 열리고 있다. ‘일상 속에 숨겨진 보석같이 반짝이는 소중한 순간’이라는 취지 아래 강익중, 김수자, 김을 등 한국 현대미술 작가 15인의 작품 23점을 전시했다. 옛날 연초제조창이 미술관으로 재생되기까지의 역사와 청주 시민들의 기억을 조망하는 설치 미술, 세계 8개 도시의 거리를 촬영한 영상 작품 등 큐레이션의 기획에 따라 묶인 작품들이 훨씬 쉽게 받아들여진다. 기획전시실은 개방 수장고의 구조상 회화 같은 평면 작품을 진열하는 데서 오는 어려움을 해소하는 역할도 한다.
청주관의 또 다른 특징은 국내 최초의 ‘미술품 종합병원’이라는 4층의 보존과학실이다. 관람객들은 유화 보존처리실, 유기·무기 분석실 등에서 미술 작품의 보존·수복 과정을 투명한 창을 통해 직접 볼 수 있다.
전에 없던 ‘실험’을 여럿 선보였지만 청주관은 아직도 갈 길이 멀다. 개관 하루 전날에도 청주관 안팎으로는 도시 재생사업의 일환으로 계속되는 공사에 분진이 날렸다. 진입로 공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주차장 완비도 늦어졌다. 기자간담회의 한 참석자는 “이곳을 찾느라 30분을 헤맸다”며 “들어오는 입구도 못 찾겠고 안내판도 없어 외부에서 찾아오는 사람들에 대한 준비가 안 돼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개관 일정이 너무 촉박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에 박위진 국립현대미술관장 직무대리는 “미술관 예산은 2018년으로 기간이 정해져 있고 지역민과 국민들에게도 2018년에 개관하기로 약속했다”며 “보완할 사항이 있으면 계속 보완해 가면서 운영하는 게 맞다고 본다”고 했다. 내년 6~9월쯤에야 조각 공원 등의 공사를 마친 ‘완전체’ 청주관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글 사진 청주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8-12-31 2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