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량원 연출 연극 ‘투명인간’ 남산예술센터서 30일 개막
변기 위에 앉은 아버지(김석주)가 입 안에 있는 오이를 아삭아삭 씹는다. 안방에 누워 있던 딸(신소영)은 그 소리에 맞춰 손으로 다리를 긁는다. 대사는 없이 아버지의 움직임과 소리, 그에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듯한 가족들의 움직임이 계속된다.연극 ‘투명인간’의 한 장면. 특수효과나 무대장치를 활용하는 대신 배우들의 미묘한 움직임과 행동으로 투명인간을 구현한다.
남산예술센터 제공
남산예술센터 제공
지난 22일 오후 7시,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에 있는 한 지하 연습실에서 남산예술센터의 올해 다섯 번째 연극 ‘투명인간’의 연습이 열렸다.
강량원 연출이 이끄는 극단 동(動)이 1년 전부터 준비해 온 신작이다. 1999년 창단돼 신체 행동과 움직임의 근원을 탐구해 온 극단 동은 몸의 움직임을 나열하고 연결해 의미를 전달하는 ‘신체 언어’라는 독특한 작품세계로 주목받고 있다.
‘투명인간’의 원작은 2010년 제34회 이상문학상 우수상 수상작인 손홍규 작가의 동명 소설로, 아버지의 생일을 맞아 장난으로 시작한 투명인간 놀이가 결국 아버지를 투명인간으로 만들어 버린다는 내용이다. 어머니(김문희)와 아들(강세웅), 딸은 집에 온 아버지를 못 본 척 행동하는데, 아버지는 자신이 진짜 투명인간이 돼 버린 양 가족들의 연극에 동참한다. 상대를 고립시키며 키득거리면서도 상대가 놀이를 끝내기 바라는 모순적인 심리의 밀고 당김 속에 가족들은 소통의 부재와 단절이라는 현실과 마주한다.
원작을 무대화하는 열쇠는 ‘눈에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투명인간’을 관객에게 설득시키는 것이다. 뻔히 보이는 인물을 투명인간으로 만드는 건 오로지 배우들의 연기에 기대야 한다. 초반의 연기는 비교적 현실적이다. 가족들은 식탁 위 케이크에 불을 붙이고 상을 차린다. “우리 투명인간 놀이나 할까?” “절대 눈을 마주치면 안돼”와 같은 대사들은 원작 소설에서 고스란히 가져왔다.
그러나 아버지가 집에 오고 가족들이 투명인간 놀이를 시작하면서 무대는 배우들의 의식과 무의식을 넘나드는 움직임으로 채워지기 시작했다. 배우들은 눈앞에 아버지가 있는데도 없는 척 앞을 바라보며 움직인다. 심지어 격렬한 몸싸움을 하면서도 시종일관 초점 없는 시선을 유지한다. 시선과 표정, 동작의 오차 없는 조율과 배우들의 치열한 훈련의 흔적이 엿보인다.
극이 절반 정도 지나자 배우들의 대사가 완전히 사라졌다. 대신 몸의 움직임과 소리의 화학작용이 극을 전개해 나가고 있었다. 아버지가 제자리에서 빙 돌자 그의 손짓과 숨소리는 파동을 일으켜 가족들에게 닿았다. 그러나 부엌에서 주방일을 하거나 거실 바닥에 누워 TV를 보는 가족들은 잠시 몸을 휘청거린 뒤 다시 원래의 자세로 돌아왔다. 서로가 서로에게서 존재 의미를 상실해 가는 가족들의 몸짓은 마치 무중력 상태에서 부유하는 듯 보였다. 강 연출은 “아버지의 생각과 행동이 가족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가족들은 애써 외면하고 있는 상황을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체언어’라는 용어는 리얼리즘을 철저히 배제한 기괴한 동작들을 떠올리게 하지만 연습실에서 미리 본 ‘투명인간’의 신체 연기는 부엌에서 칼질을 하고, 안방에 드러눕는 지극히 일상적인 움직임들이었다.
강 연출은 “이번 연극에서의 신체 언어는 결국 일상적인 동작의 조합”이라면서 “평범한 일상 속에서 서로가 서로를 소외시키고 있는 현대사회의 단면”이라고 말했다. 오는 30일부터 10월 19일까지 서울 남산예술센터 드라마센터. 2만 5000원. (02)758-2150.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4-09-25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