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창에 갇힌 조롱박… 환경에 적응해 사는 인간의 모습을 보다

철창에 갇힌 조롱박… 환경에 적응해 사는 인간의 모습을 보다

입력 2013-11-06 00:00
수정 2013-11-06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괴짜 설치 미술가 로버트 리 국내 첫 개인전

“대학 2학년 여름방학 때였어요. 친구와 자전거를 타고 여행하던 중 신호를 무시하고 달려온 승용차 밑에 깔려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했죠.” 미국 예일대에서 문학을 전공하며 로스쿨 진학을 꿈꾸던 20대 재미교포 청년은 이 사고로 인생의 전환점을 맞는다. 헨리 키신저와 같은 정치가가 될 것으로 믿던 부모님의 기대도 산산조각이 났다. 몸은 무사했지만 마음에는 깊은 상처가 났다. 그리고 깨달음을 얻었다. 미술로 전공을 튼 청년은 컬럼비아대 시각미술학과 대학원에 진학해 미술석사(MFA)를 취득했다. 한인은 손가락으로 꼽을 만큼 따기 어렵다는 학위다.
예일대, 컬럼비아 대학원 출신의 괴짜 설치 미술가 로버트 리. 옵시스아트 제공
예일대, 컬럼비아 대학원 출신의 괴짜 설치 미술가 로버트 리.
옵시스아트 제공


재미교포 2세 설치 미술가 로버트 리(31)의 이야기다. 오는 17일까지 서울 소격동 옵시스아트에서 국내 첫 개인전을 이어가는 작가는 현재 시애틀의 코니시미술대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전시 나들이는 2010년, 2011년 일민미술관 등에서 열었던 단체전 이후 2년여 만이다.

그에게 당시 사고는 어떤 의미였을지 궁금했다. “다행히 승용차 바퀴 사이로 미끄러지면서 다리에 찰과상만 입었어요. 그런데 차를 몰던 백인 여성은 ‘난 직업도 없는데 차 사고까지 내면 인생은 끝’이라며 오히려 화를 내더군요. 사람의 목숨 따위에는 관심도 없었어요.”

로버트 리의 작품 ‘텔레플래스티’. 쇠 구조물에 갇혀 자란 조롱박을 플라스틱처럼 딱딱하게 굳혀 존재의 ‘흉내내기’를 표현했다.  옵시스아트 제공
로버트 리의 작품 ‘텔레플래스티’. 쇠 구조물에 갇혀 자란 조롱박을 플라스틱처럼 딱딱하게 굳혀 존재의 ‘흉내내기’를 표현했다.
옵시스아트 제공
작가는 순간 주변이 몽롱해지면서 머리가 백지상태가 됐다고 고백했다. 무언가 머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작가는 지금도 자기만의 방식으로 당시의 깨달음을 표현하고 있다. 예컨대 조롱박을 이용한 ‘텔레플래스티’ 시리즈는 쇠 구조물에 갇힌 조롱박이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 준다. 환경에 적응해 기형적 모습을 띤 조롱박의 줄기를 끊으면 플라스틱처럼 굳는다. 이를 통해 작가는 사물의 본성에 제약을 가하며 본성을 잃은 존재의 ‘흉내내기’를 시도한다. 월드컵이 한창이던 2002년 여름에는 서울 창덕궁과 강남의 대모산에서 한두 달쯤 행위예술을 이어갔다. 사진기를 들고 나가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자신의 사진을 찍어 달라고 부탁했다. 똑같은 사람을 만나 두 번째 사진을 찍으면 작업을 종료했다. 인간의 본질을 해체한다는 의도였다. 뉴욕의 아버지 집 차고에 스튜디오를 차리고, 작업해 온 그는 ‘설치미술계의 스티브 잡스’라는 애칭도 갖고 있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인간은 어떤 조건에서라도 살아갈 수 있고 어떤 경우라도 함께 살 수밖에 없다는 처연하고 무거운 희망을 가볍고 산뜻하게 표현했다”고 말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1-06 2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