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소·마티스에 영감 준 아프리카 예술을 만나다

피카소·마티스에 영감 준 아프리카 예술을 만나다

입력 2013-10-24 00:00
수정 2013-10-2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내년 1월19일까지 중앙박물관

피카소(1881~1973)의 대표작 ‘아비뇽의 처녀들’에 등장하는 여인들은 기괴한 탈을 뒤집어쓴 듯하다. 도톰한 입술과 옆으로 퍼진 눈, 아치 모양의 눈썹이 그렇다. 유럽 화단을 떠들썩하게 했던 그림은 원시 아프리카의 조각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전해진다.

유럽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는 넘치는 예술적 생동감으로 오히려 유럽 본토를 압도했다. 피카소를 비롯해 조르주 브라크, 앙리 마티스 등 당대의 예술가들은 아프리카의 원시적 조형미에서 영향을 받았다. 피카소의 큐비즘(입체파)과 마티스의 포비즘(야수파)이 대표적이다. 내년 1월 19일까지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는 특별전 ‘콩고강-중앙아프리카의 예술’은 현대미술에 영감을 불어넣은 아프리카 예술의 역동성을 소개하는 자리다. 전시에는 콩고강 유역 15개 부족의 유물 71점이 공개된다. 콩고강은 적도를 따라 대륙을 관통하는 4700㎞의 강이다. 3000여년 전 농경민인 반투족이 이곳 강변에 터전을 잡은 뒤 풍요로운 문화를 꽃피웠다.

전시품들은 대부분 조각상과 가면으로 채워졌다. 다양한 유물들을 엮어주는 연결고리는 심장 모양의 가면과 여인상, 그리고 조상 숭배의 풍속이다. 콩고강 일원에서 확인되는 심장 모양의 가면은 나무나 상아로 만들어졌다. 영양의 둥근 뿔을 형상화한 쿠엘레족의 가면은 제례용이다. 어려운 일이 닥칠 때마다 부족민들이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부족들에게 가면을 쓰고 춤추는 행위는 유희가 아닌 공동체의 통합을 위한 의식이었다.

콩고강 유역의 사람들은 조상의 신비로운 힘이 자손들을 보살핀다고 믿었다. 선조의 뼈를 유골함에 보관하고 주위에는 장승을 세워 유골을 지키게 했다. 마을 입구에 세운 사람 모양의 나무조각인 ‘은키시 은콘디’는 일종의 보호자였다.

그런데 전시에 나온 유물은 아프리카에서 건너온 것들이 아니다. 프랑스 파리의 세계민속박물관인 케브랑리 소장품이다. 19~20세기 유럽의 식민지배 역사를 방증하는 것이다. 스테판 마텡 케브랑리 박물관장은 지난 21일 개막식에서 “세계 최고의 조각품은 아프리카에서 나왔다”고 강조했다. (02)2077-9000.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0-24 2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