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 아픔 8년… ‘백제 고찰’ 수덕사 지키는 ‘문화재 IT 방재’ 현장
2008년 2월 10일 국보 1호 숭례문이 화마에 무너졌다. 전 국민의 마음도 주저앉았다. 화재 이후 8년, 전국의 국보급·보물급 목조 문화재 방재 시스템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지난 15일 문화재청, 소방서, 가스공사, 전기공사 등 방재 관계자들의 충남 예산 수덕사 점검 현장에 동행했다. 수덕사는 백제 위덕왕(554~597) 때 고승 지명이 세운 것으로 전해지는 고찰이다.수덕사 대웅전 뒤편에 설치된 수막시설에서 물줄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대웅전 내부에 설치된 불꽃감지기(원)와 폐쇄회로(CC)TV.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국보 제49호 수덕사 대웅전 안. 방재 요원이 불꽃감지기 근처에서 라이터를 켰다. 감지기 센서 불빛이 녹색에서 빨간색으로 바뀌었다. 따르릉~ 따르릉~. 화재 경보음이 요란하게 울려 퍼졌다. 같은 시간, 방재 종합 통제실인 종무소의 속보기(화재 감지를 하면 자동적으로 소방서에 신고하는 설비)에선 화재 신고 음성이 3번 되풀이됐다.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 수덕사 대웅전입니다. 지금 화재가 발생했으니 신속히 출동바랍니다. 연락처는 000-0000, 핸드폰 번호는 000-0000-0000입니다.’ 신고를 받은 예산소방서 덕산센터는 3~5분 내에 화재 현장에 도착한다고 한다.
#대웅전 밖. 방재 요원이 종이에 불을 붙인 뒤 연기를 대웅전 안으로 들어가게 했다. 본존불상 뒤에 설치된 ‘공기흡입형 감지기’ 센서가 작동하면서 순식간에 화재 경보음이 울렸다. 종무소 속보기는 곧장 소방서에 화재 신고를 했다.
숭례문 화재 이후 국보급·보물급 목조 문화재 방재 시스템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다. 최신 고가 장비를 기반으로 과학화되고 있다. 수덕사는 체계적인 첨단 방재 시스템을 갖춘 대표적인 사찰이다.
1308년 건립된 대웅전의 방재 설비는 전국 목조문화재의 표본으로 꼽힌다. 대당 300만원에 달하는 불꽃감지기 5대(대웅전 뒤쪽 2대, 옆 1대, 내부 2대), 연기·열 감지기, 공기흡입형 감지기 등 특수 감지기가 총동원돼 700년 넘은 국보를 화재로부터 지키고 있다.
대웅전 뒤편의 수막 설비도 빼놓을 수 없다. 산불이 났을 때 불과 열기를 막는 장비로, 1시간 이상 수미터 높이의 물을 뿜어 올리며 불길이 대웅전으로 번지지 않게 한다. 수막 설비는 수덕사를 비롯해 경남 창녕 관룡사, 양산 신흥사, 산청 율곡사, 강원 양양 낙산사, 전남 강진 무의사 등 전국 사찰 중 6곳에만 설치돼 있다.
현장 점검에 나온 문화재청 방재자문위원인 최만철(47) 한밭대 소방설비공학과 교수는 “공기흡입형 감지기는 공기 속에 있는 유해물질, 연기, 열기 등을 초당 3회 이상 분석하는 장비로, 수덕사에만 설치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열 감지기는 내·외부 온도 차이가 순간적으로 20도 이상 차이가 나야 작동하고 연기 감지기도 일정 이상 연기가 축적돼야 돌아간다. 때문에 이들 감지기는 화재 여부를 파악하는 데 3초에서 10초 정도 걸리지만 공기흡입형 감지기는 1초에 몇 번씩 공기 질을 분석하기 때문에 화재 인식이 빠르다”고 덧붙였다.
김지성 문화재청 안전기준과 기술서기관은 “숭례문 화재 이후 법적으론 국보급·보물물 목조 문화재는 옥외 소화전과 속보기 두 개만 반드시 구비하도록 규정돼 있다”면서 “수덕사엔 특수감기지 등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닌 설비도 모두 갖춰져 있다”고 말했다. 실제 수덕사에는 방수총 5개, 호스릴 1개, 피뢰기 3개 등 여러 방재 장비가 구비돼 있다. 폐쇄회로(CC)TV도 다른 사찰과 달리 수덕사뿐 아니라 문화재청, 지자체, 소방서 등 방재 관련 기관의 상황실에서 볼 수 있도록 연계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정묵 수덕사 주지 스님은 “지역민이 주축이 된 자율소방대와 스님들로 이뤄진 자위소방대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면서 “첨단 장비 이전에 사람이 중심이 돼 방재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예산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2-17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