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취임한 조강훈(52·서양화가)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은 요즘 속이 타들어 간다. 대한미국 미술대전에 대한 세간의 끊임없는 의혹 제기,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침체한 미술시장이 협회의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07년 이후 정부의 미협에 대한 지원은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행사에 조 이사장은 초대조차 받지 못했다. 미술인들의 오랜 염원인 서울관 건립을 위해 발벗고 나섰지만 냉대만 받은 꼴이다. 조 이사장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이런 행태에 대해 협회뿐 아니라 미술계도 잔뜩 화가 난 상태”라며 넋두리했다. 미협이 이렇게 냉대를 받는 데는 나름 이유가 있어 보인다. 현재 전국의 미술인은 50만명으로 추산되지만, 이 가운데 미협에 등록된 회원은 3만 5000명 안팎에 그친다. 회원들이 내는 연간 2만 5000~3만 5000원의 회비와 3000만원의 정부 지원으로는 늘 살림이 허덕일 수밖에 없다. 조 이사장이 당선되면서 내건 공약들도 빈 수레가 되어가고 있다. 회원 전용 노인병원과 미술관 건립 등은 요원한 상태다. 미술인 관련 예술인 복지법 개정, 작품담보 미술은행제 도입 등의 당면과제도 쌓여 있다. 그는 “안타깝지만 해결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씩 실천해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다음 달 5일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컨벤션센터에서 ‘제7회 대한민국 미술인의 날’ 행사가 열린다. 이날 행사에는 1000여명의 미술인들이 참석해 회화·서예·조각·디자인 등 7개 부문에 걸쳐 9명에게 본상이 수여되는 등 잔치 분위기가 될 전망이다. 미술인들의 숙원으로 꼽혀 온 미술인 전용카드 발급도 가시화된다. 작품을 보고 싶어도 돈이 없어 미술관을 찾지 못하던 예술인에게는 무료입장의 혜택을 담은 카드가 가뭄에 단비 같은 존재다. 궁핍하고 서러운 겨울나기이지만, 미협은 이번 기회를 통해 뼈를 깎는 거듭나기에 들어가야 한다. 그래야 아랫목의 훈훈한 온기가 되돌아올 것이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게다가 최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행사에 조 이사장은 초대조차 받지 못했다. 미술인들의 오랜 염원인 서울관 건립을 위해 발벗고 나섰지만 냉대만 받은 꼴이다. 조 이사장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이런 행태에 대해 협회뿐 아니라 미술계도 잔뜩 화가 난 상태”라며 넋두리했다. 미협이 이렇게 냉대를 받는 데는 나름 이유가 있어 보인다. 현재 전국의 미술인은 50만명으로 추산되지만, 이 가운데 미협에 등록된 회원은 3만 5000명 안팎에 그친다. 회원들이 내는 연간 2만 5000~3만 5000원의 회비와 3000만원의 정부 지원으로는 늘 살림이 허덕일 수밖에 없다. 조 이사장이 당선되면서 내건 공약들도 빈 수레가 되어가고 있다. 회원 전용 노인병원과 미술관 건립 등은 요원한 상태다. 미술인 관련 예술인 복지법 개정, 작품담보 미술은행제 도입 등의 당면과제도 쌓여 있다. 그는 “안타깝지만 해결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씩 실천해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다음 달 5일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컨벤션센터에서 ‘제7회 대한민국 미술인의 날’ 행사가 열린다. 이날 행사에는 1000여명의 미술인들이 참석해 회화·서예·조각·디자인 등 7개 부문에 걸쳐 9명에게 본상이 수여되는 등 잔치 분위기가 될 전망이다. 미술인들의 숙원으로 꼽혀 온 미술인 전용카드 발급도 가시화된다. 작품을 보고 싶어도 돈이 없어 미술관을 찾지 못하던 예술인에게는 무료입장의 혜택을 담은 카드가 가뭄에 단비 같은 존재다. 궁핍하고 서러운 겨울나기이지만, 미협은 이번 기회를 통해 뼈를 깎는 거듭나기에 들어가야 한다. 그래야 아랫목의 훈훈한 온기가 되돌아올 것이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1-20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