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예술가 8명이 그린 자본주의 사회의 중국

中 예술가 8명이 그린 자본주의 사회의 중국

입력 2013-02-13 00:00
수정 2013-02-1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중 수교 20주년 ‘신중국미술’展

오는 3월 31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아르코미술관에서 ‘@What : 신중국미술’전이 열린다. 한·중 수교 20주년을 기념해 국립중국미술관과 공동기획한 전시다.

이미지 확대
위안위안의 ‘물거품’.
위안위안의 ‘물거품’.


이미지 확대
왕웨이의 ‘선전파빌리온’.
왕웨이의 ‘선전파빌리온’.


실험적인 작품들이 나오던 ‘85미술운동’ 때부터 활동에 나선 중견작가 쉬빙에서부터 1980년대 이후 출생 작가들을 가리키는 ‘바링허우’(八零後) 세대 작가인 위안위안까지 모두 8명의 작가가 참가했다. 대장정이나 문화대혁명 같은 과거의 큰 사건 대신 현대 자본주의 사회로서의 중국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국과 비슷한 점들이 더러 눈에 띈다. 판디앙 중국미술관장은 “이번 작품들은 글로벌화와 정보화가 진행되는 이 시대에 예술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과 관련 있고, 이 질문은 한국 작가들에게도 유효한 질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쉬빙은 ‘신영문서법-춘강화월야’(新英文書法-春江花月夜)를 내놨다. 언뜻 보면 한문 잔뜩 적힌 족자다. 웬만한 집안에 한두 개쯤 굴러다닐 것 같은 느낌인데 다가서서 보면 한자가 아니다. 알파벳을 자기 나름대로 그려서 조합한 문장이다.

왕웨이의 ‘선전 파빌리온’(Propaganda Pavillion)도 이색적이다. 번쩍대는 멋진 구조물이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이게 무슨 양식인지 도대체 알아볼 수가 없다. 썩은 곡괭이 때문에 앞으로 뛰쳐나가지 못하는 코뿔소를 묘사한 리후이의 ‘포로가 된 코뿔소’(To create Captive Rhinoceros)도 인상적이다.

위안위안은 방울방울 퍼져나가는 공간을 만든 뒤 그 공간에다 이런저런 인물들을 그려 넣었다. 곧 지나갈, 사라질 이 기억들에다 ‘물거품’(Visionary Hope)이란 제목을 붙여뒀다. 전통과 현대의 충돌, 그로 인한 불안함을 드러내는 작품들이다. (02)760-4605.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2-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