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작에 없는 광대 ‘희광’의 다양한 역할 눈길
한글 창제 과정은 수많은 추측을 낳는다.세종이 심혈을 기울여 만든 한글에 관한 기록이 정작 실록에는 자세하게 나와 있지 않은 탓이다. 훈민정음 창제(1443년)와 반포(1446년) 사이에 놓인 3년이라는 공백도 많은 상상을 낳게 한다. 그 기간에 있었을 법한 한글 창제 추진파와 반대파의 대립을 연쇄살인으로 풀어낸 것이 이정명 작가의 ‘뿌리 깊은 나무’다.
연쇄살인 수사를 해 온 채윤이 한밤중에 감옥에 들어왔다. 감옥에 있던 희광이 내일이면 처형당할 채윤의 사정을 듣고 주인공과 함께 사건을 되짚어 본다. 집현전 학사들의 시신들에서 연관성을 발견하고 궁녀 소이와 그의 마방진으로 사건의 핵심에 다다르는 채윤의 수사가 순발력 있게 전개된다. 채윤이 왕의 호위무사 무휼, 비밀 조직과 벌이는 칼싸움은 꽤 연습을 많이 한 듯 생동감 있다.
무엇보다도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연극 속에서 태어난 ‘희광’이다. 박연의 관습도감에 차출돼 향악 연구에 도움을 주지만 궁녀들을 희롱해 감옥에 들어오길 밥 먹듯 하는 인물이다. 이 유쾌한 캐릭터는 우물 속에서, 대들보에 매달려, 불에 탄 채 발견된 시신들이 됐다가 서운관 귀신이 되기도 한다. 원작에 없는 인물이면서 원작의 인물보다 더 생생하게 극에 녹아들어 있다.
별다른 무대장치 없이 영상과 조명으로 길을 뚫고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도 인상적이다. 수묵화로 그린 무대 뒤 영상은 공간을 집현전으로 만들고, 세종과 대제학 최만리가 사상 다툼을 벌이는 산속으로 옮겼다가, 또 시신이 발견된 살인사건 현장으로 변하는 등 간결하지만 변화무쌍한 무대장치로서 제 몫을 해낸다. 극중극을 풀어내는 방법으로 활용한 그림자극도 꽤 효율적이다. 세종이 우여곡절 끝에 한글을 반포하고 채윤과 소이에게 자유를 준 뒤부터 약간 극이 늘어지는 느낌도 있다. “많은 사람이 한글의 가치에 대해 되새겨 봤으면 한다.”는 원영애 독립극단 대표의 제작 의도는 충실히 전달된다. 그래서 희광이 덕분에 낄낄대면서도 공연이 끝나고서는 무엇인가 가슴에 품고 나올 법하다. 이기도 연출, 홍원기 각색. 31일까지 서울 용산동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 2만~5만원. 1544-5955.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10-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